검색결과 필터

[전체] “가래떡” 에 대한 검색결과 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

사전(2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와 같이 은 멥쌀가루를 시루에 쪄서 안반에 놓고 잘 친 다음 조금씩 도마 위에 놓고 두 손바닥으로 굴리듯하여 길게 밀어서 만들었다. 요즈음에는 기계를 이용하여 길게 빼낸다. 은 얄팍하게 동전 모양으로 썰어서 떡국을 끓이거나 좀 가늘게 뽑아내어 떡산적ㆍ떡찜ㆍ...
    이칭별칭흰떡|권모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멥쌀로 둥글고 길게 만든 떡.
    정의멥쌀로 둥글고 길게 만든 떡.[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araetteok | MR표기karaettŏ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떡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맑은 장국에 을 얇게 썰어넣고 끓인 음식. [내용] 설날에 먹는 절식(節食)의 하나이다. 설날에 떡국을 먹는 풍속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조선 후기에 편찬된 『동국세시기』ㆍ『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 등 우리나라의 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먹는 명절식으로 우선 꼽히는 것은 떡국이다. 떡국의 기본 재료는 쌀로 만든 이다. 요즘에는 방앗간에 가서 을 해오지만 예전에는 집에서 직접 만들었다. 그런가 하면 조선시대에도 떡국을 시장에서 팔았다는 내용이『동국세시기』기록되어 있어 흥미를 끈다. 떡국에는 만...
    이칭별칭설날|원일(元日)|원단(元旦)|원정(元正)|원신(元新)|원조(元朝)|정조(正朝)|세수(歲首)|세초(歲初)|연두(年頭)|연수(年首)|연시(年始)|신일(愼日)|달도(??)|구정(舊正)
  • 용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용의 모양과 비슷하게 만든 . [내용] 용의 모양과 비슷하게 만든 . 경상도지방에서 의례 때 쓰는 떡의 하나이다. 용떡은 쌀을 빻아서 쪄서 떡메로 잘 친 다음, 굵직하고 길게 비벼서 용의 모양과 비슷하게 만드는데 어촌에서는 음...

고서·고문서(1)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문제풀이 정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연수현(延寿县) 중화향 1 1 문제풀이, 해답, 321번, , 322번, 세배...
    대표표제어문제풀이 | 성씨

주제어사전(1)

  • / [생활/식생활]

    멥쌀로 둥글고 길게 만든 떡. 흰떡[白餠]·권모(拳模)라고도 한다. 흰떡이란 말은 『경도잡지』·『동국세시기』 등에 보이고 있다. 『경도잡지』에서는 “멥쌀로 떡을 만드는데, 치고 비벼 한 가닥으로 만든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은 멥쌀가루를 시루에 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