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가락식토기” 에 대한 검색결과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나왔다. 이것은 같은 층위에서 나온 것에 의한 연대로서는 차이가 너무 크지만, 서기전 7세기라는 연대가 문화의 기준연대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역삼동주거지발굴보고(驛三洞住居址發掘報告)」(김양선‧임병태, 『매산김양선교수...
  • 수원서둔동주거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 4기는 민무늬토기시대 집터이고, 나머지 3기는 초기 철기시대 집터이다. 민무늬토기시대 집터는 중부지방에서 많이 보이는 장방형의 움집터이고 중기 이후의 것들인데, 구멍무늬토기[孔列文土器]‧()‧슴베돌살촉[有莖石鏃]‧슴베없는돌살촉‧숫돌[砥石]...
  • 둔산선사유적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340㎝이고, 깊이는 20㎝ 정도의 퇴적층만 남아 있다. 화덕의 흔적이 조금 남아 있다. 출토유물로는 편(제2호)을 비롯해 기형을 알 수 없는 민무늬토기편 다수(제1호), 토제관옥편 2점(제3호), 토제방추차 1점(제3호), 양환석부 2점(제1호), 석...
    연계항목둔산선사유적지(屯山先史遺蹟地)
  • 팽이토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지손잡이가 있는 겹아가리토기는 그릇형태가 화분형으로 넓게 퍼지고 바닥도 넓으며, 빗금무늬도 형식적으로 약한 아류의 팽이토기로서 ‘’로 잘 알려져 있다. [특징] 이 토기의 특징은 아가리[口緣部]와 바닥에서 볼 수 있다. 아가리는 밖으로 곱싸 넘겨...
    이칭별칭팽이형토기
  • 고고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또한 두만강유역에서는 붉은간토기‧구멍띠토기[孔列土器]가 나타나 빗살무늬토기는 완전히 소멸한다. 그 중 팽이토기는 한강유역에서 ()로 변한다. 또한 함경도 토기도 한강유역으로 내려와 한강 이남의 무문토기 발전에 참여한다. 농경은 쌀을 포함한 콩‧...

주제어사전(1)

  • /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 민무늬토기의 형식. 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동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의 형식에 붙여진 이름이다. 1963년고려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발굴돼 출토유물은 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