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가락바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3)
사전(88)
- 가락바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손양면 오산리(鰲山里), 한강 중류의 여주군 점동면 흔암리(欣巖里) 유적에서 출토되었다. 유적에서 바늘에 실이 감긴 채 출토된 예가 있어 실을 잣는 데 가락바퀴가 사용된 것은 신석기시대부터라고 할 수 있는데, 청동기시대 이후에는 전국 각지에서 가락바퀴가 출토되고...이칭별칭방추차
- 대구복현동고분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미늘쇠(有刺利器) 가운데 한 두 종류만 출토되었다. 이외에 가락바퀴(紡錘車), 그물추(漁網錘) 등이 출토된 분묘가 몇 기 있다. 출토된 유물들로 보아 고분의 축조연대는 5세기 전반부터 6세기 중‧후엽 사이로 추정되고, 무덤에 묻힌 피장자들은 당시 대구지역의 최고지배...
- 정읍보화리주거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대별되는데, 토기는 민무늬토기로서 주로 바닥들이 출토되었는데 납작바닥의 형태를 하고 있다. 석기류는 숫돌‧갈판‧돌도끼‧가락바퀴 등이 출토되었다. 이 중 돌도끼는 길이 14㎝, 너비 7.2㎝로서 조갯날 형태를 하고 있다. 이러한 원추사주형의 움집터는 초기철기시대의...이칭별칭보화리움집터
- 서산휴암리선사유적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목긴항아리(長頸壺), 사발, 잔 등이 있다. 붉은간토기(紅陶)도 있는데 그릇 형태는 목긴항아리가 대부분이고, 바리에 붉은 칠을 한 토기 조각도 있다. 석기로는 돌화살촉(石鏃), 돌도끼, 돌칼(石刀) 등 무기류(武器類)와 대팻날, 갈판(碾石), 숫돌(砥石), 가락바퀴(紡...
- 영암금계리고분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석기류에는 돌도끼〔石斧〕, 삼각형돌칼〔三角形石刀〕, 돌끌〔石鑿〕, 슴베있는간돌화살촉〔有莖式磨製石鏃〕, 구멍있는 돌도끼〔有孔石斧〕 등이 있다. 돌화살촉의 경우 대부분의 집자리에서 출토되는 양상을 보인다. 토제품은 대롱모양〔管狀〕의 그물추〔漁網錘〕, 가락바퀴〔紡錘車〕...
고서·고문서(3)
- 볼셰카자그바예보 Ⅱ 쿠르간1 [한국상고사의 공간적 범위확정을 위한 쿠르간 아카이브 구축 | 서울대학교].07 61.35.03 첼랴빈스크주립대학, 우랄주립대학 1992, 1998 원형 16.0* 어망추, 가락바퀴 중부 EN029대표표제어볼셰카자그바예보 Ⅱ 쿠르간1 | 발굴조사연대1900년대 | 고분군볼셰카자그바예보 쿠르간
- 필리폽카 쿠르간 3호분 [한국상고사의 공간적 범위확정을 위한 쿠르간 아카이브 구축 | 서울대학교]1.0, 24.3*1.3 2개체 이상 합장 도굴 가락바퀴, 백악 토기 2점 재갈 멈추개 9점, 동물형 교구 4점, 동물형 펜던트 5점, 새모양 장식, 대금구 9점, 화살촉 160점 이상, 거울, 솥 재갈, 화살촉 75점, 갑옷, 검, 칼 2점,...대표표제어필리폽카 쿠르간 3호분 | 발굴조사연대1900년대 | 고분군필리폽카 쿠르간 | 무덤조성연대사르마트 시기
- 필리폽카 쿠르간 7호분 [한국상고사의 공간적 범위확정을 위한 쿠르간 아카이브 구축 | 서울대학교]제단용 돌, 가락바퀴 토기 4점 화살촉 129점, 거울 3점, 대금구, 솥, 펜던트 칼 3점, 송곳, 팔찌 2점, 포크, 창, 검, 갑옷, 대접 장식품 5점, 귀걸이 2점, 구슬 10점, 산양 머리형 대금구 동물형 대금구, 귀걸이 조가비 2점...대표표제어필리폽카 쿠르간 7호분 | 발굴조사연대1900년대 | 고분군필리폽카 쿠르간 | 무덤조성연대사르마트 시기
기타자료(2)
- 전랑지∙남고루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사발 마.병 바.항아리 4.금속류 가.금동불입상 나.은제 용기 다.쇠제품 라.주화 마.금동제품 바.청동제품 5.기타류 가.토제벼루 나.가락바퀴 다.그물추 라.흙구슬 마.숫돌 / Ⅷ.맺는말 / Ⅸ.부록 남고루는 통일신라시대 도시계획에 의하여 구획되었던 전랑지 서측의...발행연도1995 | 발굴기관경주문화재연구소 | 발굴지역경상북도
- 충주 단월동 고려묘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부편, 청자병 목조각, 청자탁잔 조각, 가락바퀴 등이 있다. 천주교 공원묘원이 조성되면서 고려시대의 석곽/토광묘가 훼손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긴급발굴신청을 하여 92년 7월 5일부터 8월 20일까지 발굴조사하였다. 조사된 고분의 수는 석곽묘(돌덧널무덤) 11기를...발행연도1992 | 발굴기관충주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북도
주제어사전(14)
-
가락바퀴 / [경제·산업/산업]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의 원시적인 방적구(紡績具). 짧은 섬유의 경우는 섬유를 길게 이으며 뒤 꼬임을 주어 실을 만들고, 긴 섬유의 경우는 꼬임만을 주어 실을 만드는 방적구의 가장 원시적인 형태이다. 골제·토제·석제·도자제 등으로 시대와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
강계공귀리유적 / 江界公貴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끼·반달돌칼·흑요석기·그물추·가락바퀴·곤봉두(棍棒頭)·숫돌·발화대석(發火臺石)·찰절구(擦切具)·매부리형석기·활비비·토기 등으로, 석기 및 토제품이 560점, 토기가 110여 점 출토되었으며, 흑요석편과 청동편이 채집되었다.
-
강릉동덕리유적 / 江陵冬德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은 외반구연호(外反口緣壺)이고, 또 1점은 내반구연호(內反口緣壺)이다. 그 밖에 주거지 퇴적층에서도 13점의 경질민무늬토기편과 2점의 타날문토기편, 돌도끼 2점 등이 나왔으며, 생활면에서는 경질민무늬토기 2점, 반달칼 1점, 가락바퀴 1점 등이 나왔다.
-
강릉포남동주거지 / 江陵浦南洞住居址 [역사/선사시대사]
강원도 강릉시 포남동에 있는 선사시대의 집터 유적. 유물은 주로 중심에서 동쪽과 서쪽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었다. 종류는 갈판·반달돌칼·돌도끼·돌칼·갈돌·돌낫 등의 농경구와 가락바퀴·돌살촉·간돌칼·청동살촉·철편·숫돌·토기파편 등의 생활용구가 있다. 이 중에서 특기할 것
-
광주덕풍리유적 / 廣州德豊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장식되어 있다. 석기는 원통형 도끼ㆍ대팻날 등이 많고, 갈판ㆍ반달돌칼ㆍ돌화살촉ㆍ가락바퀴ㆍ숫돌 등이 채집되었다. 이 곳에서 채집된 구멍무늬토기와 각종 석기류는 한강유역의 청동기시대 이른 시기 유적들에서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유적도 청동기시대 중 이른 시기에 속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