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가덕도” 에 대한 검색결과 3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7)

사전(8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에 속하는 섬. [개설] 동경 128°49′, 북위 35°02′에 위치하는 는 남해안으로 흘러드는 낙동강 하구의 서쪽 해상에 위치한다. 등대(시도유형문화재 제50호)와...
  • 해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97년(선조 30) 6월 19일 수군통제사 원균(元均)이 거느린 조선 수군과 일본 수군이 근해에서 싸운 해전. [내용]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이원익(李元翼)과 권율(權慄)이 원균에게 “후방을 경계하는 동시에 수군을 출...
  • 등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 에 있는 등대. [역사적 변천] 조선 말기인 1902년부터 1910년 사이에 건설된 41개 유인등대 중 하나로서 1909년 12월에 점등을 시작했다. 공사는 당시 등대 건설 ...
    연계항목가덕도등대(加德島燈臺)
  • 척화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 에 있는 1871년(고종 8) 서양을 물리치기 위하여 에 세웠던 비. [내용]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35호. 크기는 가로 45㎝, 세로 16㎝, 높이 150㎝로 화강석에...
    연계항목가덕도척화비(加德島斥和碑)
  • 왜변(倭變)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71 사건 왜변(倭變) 왜변 倭變 1508년 부산 ()에 왜적이 침입한 사건. 의 변[之變]. 1508년 11월 2일, 왜적이 에 침입하여 그곳에서 벌목(伐木)하던 웅천현(熊川縣) 사...
    유형분류사건

고서·고문서(213)

  • 57 B000057 도서 경상남도 世宗實錄 十一年(1429) 十一月 세종실록_11111011_002 ... 忠淸道公州熊津衍所、忠州楊津淵所、懷仁味谷城、舒川熊津溟所、鎭川胎靈山、大興大岑島、文義壤城、德山加倻岬; 慶尙道晋州城堭、東萊古智島阹、任內東平絶影島ㆍ毛等邊...
    출처전거世宗實錄 | 지역분류경상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8 B000058 도서 경상남도 世宗實錄 三十年(1448) 八月 세종실록_13008027_001 ... 白也島ㆍ楮島ㆍ仇郞島、金海府亏音島ㆍ伐島ㆍ水島ㆍㆍ鳴旨島ㆍ馬島ㆍ甘勿島、晋州夫火谷里、昆陽郡非刀里串、盈德縣沙冬浦ㆍ南驛浦ㆍ下渚浦ㆍ烏保浦、南海縣 ...
    출처전거世宗實錄 | 지역분류경상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9 B000059 도서 경상남도 中宗實錄 三十九年(1544) 九月 중종실록_13909012_002 ○政院以備邊司堂上【洪彦弼、尹仁鏡、成世昌、丁玉亨、曺潤孫、尹熙平、禹孟善。】意啓曰: “體察使【李芑】啓本,【“鎭堡城基, 親審監築, 而全革鎭軍及防歇處軍(事)...
    출처전거中宗實錄 | 지역분류경상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0 B000060 도서 경상남도 中宗實錄 五年(1510) 四月 중종실록_10504024_002 “力戰者皆被獲, 盛親必不免矣。” 上曰: “啓本云我軍無一人死傷者, 信乎?” 對曰: “是矣。 但柳聃年軍官內禁衛金良弼, 斷倭頭時, 有一倭乘其不意, 以劍刺其脚背,...
    출처전거中宗實錄 | 지역분류경상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1 B000061 도서 경상남도 中宗實錄 六年(1511) 十二月 중종실록_10612016_004 ○慶尙道兵馬節度使柳聃年馳啓曰: “臣與水軍節度使李安世, 同議整齊舟師, 留熊川待變。 倭船侵犯各鎭, 累日不去, 臣領兵船百二十五隻, 圍討於倭船隱泊處。 倭船凡...
    출처전거中宗實錄 | 지역분류경상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4)

  • 전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몇 편의 등지 노래가 끝나고 잠시 동안 술을 마시면서 여러가지 이야기가 나왔다. 선지리 주변 전설 이야기를 하는 가운데서 이 이야기가 나왔다. *
    조사일시1982-08-05 | 조사장소경상남도 김해군 주촌면 | 제보자심복동
  •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가 가덕도의 명물에 대한 자랑을 하다가 이 노래를 구연하였다. 예전에는 가덕도가 살기 좋았다고 했다.
    조사일시2010. 2. 3(수) | 조사장소부산광역시 강서구 천가동 대항마을 대항경로당 | 제보자김복의
  •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의 유도로 제보자가 가덕도 노래를 말로 읊었다. ‘가덕도 연대산은 서만에 조종사요 그래인자 청선에 천수대는 우리 각국이 다아는 천 수대래요’ 이에 조사자가 노래로 해달라 하자 제보자가 노래를 시작하고 노래가 끝이 난 후, ‘매약이 마이 난다꼬 연역이 풍년이더래...
    조사일시2010. 2. 3(수) | 조사장소부산시 강서구 천가동 남중마을 남중할머니회관 | 제보자김을태
  • 김종필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 북핵, 소떼 방북, 시계 노점상, 연평도 포격사건, 이산가족상봉, 종북, 통일, 투표, 햇볕정책, 10월 유신, 25사단 72연대, 3.15부정선거, 4.19혁명, 5.16쿠데타, 5.18광주민주화운동, 6월항쟁, 6.15공동선언, 7.4남북공동성명, , 경기
    구술자김종필 | 직업귀금속 중개업 | 지역평안도

기초학문(1)

  • 부산 의 어촌지역 생활어휘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홍기옥, 게재일 : 2018
    18781 홍기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인문과학연구소 2018 부산 의 어촌지역 생활어휘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
    유형논문 | 게재일2018

신문·잡지(8)

  • 照促速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상남도 웅쳔군 외양리에 일본방비 군용디로 량졈령 인민의 뎐답 가옥갑과 결셰호포젼을 지발치못야 인민의 호원이 답지으로 부에셔 도 관찰의 보고인야 탁지부로죠회고 신속히 지발야 환산 셩으로 다시호원이업게라 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5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兩島收買의質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진만 일본요령관이 탁지부에야 그곳 원졔도 민유디 이쳔오 두오승직이와 원외 양포민유디를입고 안이을 질문얏 당쵸 원졔도 일본군용디로 허고 그지단갑은 정부에쳥의야 인민의게 츌급지얏고 원외 양포 일본포를 건츅경영으로 그디단을...
    게재일1907년 1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度照內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탁지부에셔 부로죠회기를 웅쳔군 군용디로범입된 인민가옥뎐답 상금 지발 일에야난 인민등이 쳐소를일코 셔황난졍경이 극히긍측고로 그 갑슬 곳지발터이나 군에셔일일이구별치안이고 가량도슈만보얏슨즉 심히모호지라 군에지칙야소상이보고야신쇽히지츌케라
    게재일1906년 5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政府詰照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의친왕부에 부속 와 거졔도 연안 어업권과 영친왕부소관 인쳔 부평량군 진황디 간특허권에 야일인의게 공인라건으로 졍부에셔 통감부죠회를인야농상공부로죠회얏다 말은 임의긔얏거니와 농상공부에셔 그건에 관계가 업슨즉 인허필요가 업다고 답복얏더니
    게재일1906년 9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漁權公認의交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의친왕부소관으로 부속된 경상남도 에셔 붓터 거졔도지 연안에셔 대구어 잡 어쟝젼부의 특허권에야일인 향퇴원랑씨가 의친왕부에 그 인허를 맛흔후 통감부에 인쥰을 쳥구지라 통감부에셔 일인에쳥원셔와 의친왕부 허가장을 안동야 졍부로 보고 졍부에셔 공인을
    게재일1906년 8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6)

  • / [지리/자연지리]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속하는 섬. 동경 128°49′, 북위 35°02′에 위치하는 는 남해안으로 흘러드는 낙동강 하구의 서쪽 해상에 위치한다. 등대(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50호)와 동백군락(부산광역시 기념물 제36호)이 유명하다. 통일신라시대 당

  • 등대 / 燈臺 [지리/인문지리]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에 있는 등대. 조선 말기인 1902년부터 1910년 사이에 건설된 41개 유인등대 중 하나로서 1909년 12월에 점등을 시작했다. 공사는 당시 등대 건설 소관부서였던 탁지부 등대국에서 맡았지만, 직원이나 기술자가 대부분 일본인이었으므로 이 역

  • 척화비 / 斥和碑 [역사/근대사]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에 있는 1871년 서양을 물리치기 위하여 에 세웠던 비.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35호. 크기는 가로 45㎝, 세로 16㎝, 높이 150㎝로 화강석에 “서양 오랑캐가 침범하는데 싸우지 않는 것은 곧 화친을 하자는 것이고 화친을 하자는 것은

  • 자생동백군 / 自生冬栢群 [과학/식물]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에 있는 동백나무자생지.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36호. 는 낙동강 하구의 서쪽 해상에 위치한다. 신어산맥의 말단부가 대한해협에 몰입하다가 솟아난 섬인데, 면적은 20.75㎢이고 둘레는 약 36㎞로서 부산에서 가장 큰 섬이다. 섬에는 최

  • 고현성 / 古縣城 [예술·체육/건축]

    경상남도 거제시에 있는 조선전기 석축 성곽.성곽터. 시도기념물. 경상남도 기념물 제46호. 거제도는 우리 나라에서 제주도 다음가는 큰 섬으로 동쪽으로는 부산 ()가 있으며, 북쪽은 진해만(鎭海灣)에 면하고, 남쪽은 현해탄(玄海灘)을 사이에 두고 대마도(對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