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가곡원류” 에 대한 검색결과 13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1)

사전(7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본 가운데 원본에 가깝다고 추정되는 국립국악원 소장본은 표제가 ‘가사집’이다. 이본에 따라 청구영언‧청구악장‧해동악장‧화원악보(花源樂譜) 등의 이칭(異稱)이 있다. 보통 ‘’라고 하나, 이것은 이 책의 첫머리에 송나라 오증(吳曾)의 ≪능개재만록 能改齋謾...
    이칭별칭청구악장|해동악장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876년 박효관(朴孝寬, ?-?)과 안민영(安玟英, ?-?)이 편찬한 가집(歌集).
    정의1876년 박효관(朴孝寬, ?-?)과 안민영(安玟英, ?-?)이 편찬한 가집(歌集).[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agok wollyu | MR표기Kagok wŏlly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오동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은『』를 남겼다. 그러나 그의 제자 가운데 오직 최수보의 가곡만이 이어져서 현재에 이른다. 『조선』(조선총독부, 1929.11.) 가곡 전수도
  • 박효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과 함께 3대 가집의 하나인 『』를 편찬하여 가곡 창(唱)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남달리 대원군의 총애를 받아 운애라는 호를 대원군에게서 하사받았다. 그의 작품 13수가 『』에 전하며, 그를 전후한 창의 계보는 [그림]과 같다.
    이칭별칭 경화(景華)| 운애(雲崖)
  • 김민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순조 때의 시인.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청음(淸陰) 7대손으로, 호는 매월송풍(梅月松風)‧매옹(梅翁). 자는 신여(愼汝)이다. 관(官)은 현감을 지냈다고 되어 있고, 『』 가와이본(河合本)에는 익종 대...
    이칭별칭 신여(愼汝)| 매월송풍(梅月松風), 매옹(梅翁)

고서·고문서(39)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하합본 서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3804 잡가 [하합본] 13050 하합본 서 詩三百五篇商周之歌詞也其言止乎禮儀聖人刪取以爲經周衰鄭衛之音作詩之聲律廢矣漢興制氏猶傳其鏗鏘至元成間倡樂大盛貴戚王侯定陵富平外戚之家淫侈過度與人主爭女樂而制氏所作遂泯絶無聞焉文選所載樂府詩晋志所載...
    구분잡가
  • 일석본 서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3813 잡가 [일석본] 13051 일석본 서 鼓長短點數排布 合一百五十點 詩三百五篇 商周之歌詞也 其言止乎禮儀 聖人刪取以爲經 周衰鄭衛之音作 詩之聲律廢矣 漢興制氏猶傳其鏗鏘 至元成間 倡樂大盛 貴戚王侯 定陵富平外戚之家 淫侈過度 與...
    구분잡가
  • 03812 잡가 [하합본] 13050 首陽山歌 [8] 首陽山의, 고리을, 것 위슈빈의, 고기를 낙거, 의젹의 비신 슐, 이 발근 달의, 등왕각 놉푼 집의, 쟝건의 승고 달 구경 가는, 말
    구분잡가

기초학문(2)

  • 20세기 초 재편된 『』(가람본)의 성격과 시가사적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경호, 게재일 : 2014
    46316 강경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민족어문학회 2014 20세기 초 재편된 『』(가람본)의 성격과 시가사적 의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여창가요록」 양승민본의 문헌적 특징과 자료적 가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양승민, 게재일 : 2012
    =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37485&local_id=10053321 雲谷本 []의 문헌적 특징과 그 자료적 위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sea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18)

  • / [문학/고전시가]

    1876년(고종 13) 박효관(朴孝寬)과 안민영(安玟英)이 편찬한 가집(歌集). 『』의 각 이본에 보이는 곡조의 명칭과 이를 대비하면, 평거는 평시조, 중거는 중허리시조, 두거는 지름시조, 엇악·엇롱은 사설지름시조, 엇편은 수잡가, 편삭대엽은 휘모리잡가와 대응

  • 금옥총부 / 金玉叢部 [문학/고전시가]

    조선 말기에 안민영(安玟英)이 편찬한 시조집. 체재와 내용을 보면, 우선 능개재만록(能改齋漫錄), 논곡지음(論曲之音), 논오음지용유상생협률(論五音之用有相生協律), 박효관(朴孝寬)의 서(序), 평조·우조·계면조, 가지풍도형용십오조목(歌之風度形容十五條目),

  • 김민순 / 金敏淳 [문학/고전시가]

    조선 순조 때의 시인.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의 7대손이다. 관직은 현감을 지냈다고 되어 있고, 『』 가와이본(河合本)에는 익종 대리시(代理時) 지평현감(砥平縣監)을 지냈다고 되어 있다. 김민순의 작품은 15수가 전하고 있다. 『청구영언』 육당본에만 수록

  • 시가요곡 / 詩歌謠曲 [문학/고전시가]

    농·우락·환계락·계락·편’이며, ‘ᄐᆡ평가’로 끝을 맺는다. 이는 여창가곡의 연창(演唱) 순서로 노래들을 수록한 것이다. 즉 ‘여창우됴쳐치’와 ‘계면쳣치’라는 곡목에서 볼 수 있듯이 19세기 가곡의 악조가 ‘우·계면조’의 양분 구도로 정착되는 『』계 여창가곡의

  • 해동가요 / 海東歌謠 [문학/고전시가]

    조선 영조 때 김수장이 편찬한 가집. ≪청구영언≫·≪≫와 더불어 3대시조집으로 일컬어진다. 이본으로 박씨본·일석본·주씨본·U.C본 등 4종이 있다. 풍부한 작품의 수록은 물론, ≪청구영언≫과 ≪≫의 교량적 위치에서 후대 가집의 편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