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총 215,282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周衣] [조선 후기 물명 집성과 DB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현대음주의 | 현대대응어주의. 두루마기 | 키워드복식. 의복
- [紬] [조선 후기 물명 집성과 DB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현대음주 | 현대대응어주, 명주 | 키워드복식. 직물
- 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한글 자모의 첫째 글자.이칭별칭기역
- ㄱ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928년 대구에서 조직된 만주 지역의 독립군 보강을 위한 비밀결사.이칭별칭기역당
- ㄱ자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용마루가 ㄱ자로 꺾여 평면이 ㄱ자 모양을 이루고 있는 집.이칭별칭기역자집
- ㄱ자형 집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한옥의 형태로 기역자 형식으로 꺾인 꺾음집정의한옥의 형태로 기역자 형식으로 꺾인 꺾음집 | 문광부표기giyeokjahyeong jip | MR표기kiyŏkchahyŏng chip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한글 자모의 둘째 글자.이칭별칭니은
- ㄷ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한글 자모의 셋째 글자.이칭별칭디귿
- ㄷ자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지붕의 용마루와 종도리가 ㄷ자 모양을 이루고 있는 집.이칭별칭디귿자집
- 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한글 자모(字母)의 넷째 글자.이칭별칭리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