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서·고문서 총 321,375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原文和譯對照) 李舜臣全集 [근대초기 외국인 한국고전학 역주자료집성 편찬 사업-외국인 한국고전학 서지DB구축, 주요 논저 번역, 외국어 번역 고소설 역주 | 부산대학교][李忠武公全書]에 대한 문헌고증과 한문현토체 일본어역문을 함께 엮은 것.자료구분문헌 | 저자青柳綱太郎[朝鮮硏究會 編] | 출처朝鮮古書珍書 3기27~28집 | 발행년도1916
- (原文和譯對照)三國史記 [근대초기 외국인 한국고전학 역주자료집성 편찬 사업-외국인 한국고전학 서지DB구축, 주요 논저 번역, 외국어 번역 고소설 역주 | 부산대학교]김부식의 [삼국사기]의 한문원문과 현토체의 일본어 번역문을 함께 엮은 것자료구분문헌 | 저자青柳綱太郎[朝鮮硏究會 編] | 출처朝鮮古書珍書 2기2~3집 | 발행년도1914
- (原文和譯對照)靑野謾輯 [근대초기 외국인 한국고전학 역주자료집성 편찬 사업-외국인 한국고전학 서지DB구축, 주요 논저 번역, 외국어 번역 고소설 역주 | 부산대학교]李喜謙이 편찬한 [청야만집]에 대한 원문고증과 한문현토체 일본어역문을 함께 엮은 것자료구분문헌 | 저자青柳綱太郎[朝鮮硏究會 編] | 출처朝鮮古書珍書 3기25~26집 | 발행년도1916
- (君山)鐵笛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君山)鐵笛 萬里滄溟闊, 中浮一點山。 笛吹煙雨外, 聲出渺茫閒。 旅客情難掩, 孤臣淚自潸。 蕭蕭蘆岸遠, 叫月斷鴻還。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嘉平館)觀射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嘉平館)觀射 暇日娛賓闢射圃, 百步沙堋環短堵。 穿楊 楊: 시규1‧초국2‧중규2에는 “揚”, 중규1에는 “楊”.絶藝入神悟, 巧力須知在承弣。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四) 首陽山歌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77] 首陽山에 고사리 꺾이 渭水濱에 고기를 낙아 儀狄의 비즌 李太白 밝은 달이 騰王閣 높은 집에 張騫이 乘槎하고 달 求景 가는 말명을 請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아악부
- (坡山), 奉呈(聽松)(成先生)【(守琛)】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坡山), 奉呈(聽松)(成先生)【(守琛)】 출전인《聽松集‧권3‧附錄》에는 제목이 “上聽松堂”으로 되어 있음. 靜裏生涯足, 人閒事不聞。 草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坡州)鄕約序【庚申】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坡州)鄕約序【庚申】 坡……申: 초1․ 중국1․중공2에는 “坡州鄕約序”. 鄕之有約, 古也。 三五之世, 極建民格, 無事乎約, 而射有法, 飮有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大仲)使謳者(碧桃)助餞席之歡, 因其歸寄詩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大仲)使謳者(碧桃)助餞席之歡, 因其歸寄詩 寒江煙浪阻佳期, 嫋嫋秋風一夕吹。 試 試: 시규1‧초국2‧중규2에는 공란으로 비워져있고, 중규1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大仲)次韻, 復步以賡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大仲)次韻, 復步以賡 江天纖翳盡, 皎皎懸秋月。 羣峭蘸空明, 山川成兩絶。 綠樽對良朋, 心肝澹相徹。 悵然下山逕, 危亭隱林末。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