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서·고문서 총 405,874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福(복)되소서 이 江山(강산)」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s〉合唱 金蓮月 高福壽〈/s〉 [ ㄱ ] 山(산)으로 가면 黃金(황금)이 나고 들(野)로 나리면 五穀(오곡)이 익네 三面(삼면)이 바다로구분신민요
- 「평안도의 행복한 가족」(『미드 컨티넨트 매거진』, 1892년 9월호) [근대 전환기 알렌 문서 정리ㆍ해제 및 DB화 | 건양대학교]문서종류기사 | 생산일자미상 | 발신자미상
- 𤍠情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36〉 [ 一. ] 이 내[我] 몸[身]은 강 언덕[海岸]에 시드른 망초 어엽분 너도 한 시드른 망초 엇재든지 둘에 몸은 이 셰상(世上구분창가 | 편저자姜義永
- 𤍠情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mn〉숫자보〈/mn〉 〈#71〉 이 몸은 강 언덕에 시드른 망초 어―엽분 너도 시드른 망초 엇던지 둘―에 몸은 이 셰상에셔 ―구분창가 | 편저자姜義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