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서·고문서 총 321,375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文忠堂), 書示(沈都事)(文叔)【(禮謙)】, 兼呈經歷(具時中)【(忭)】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文忠堂), 書示(沈都事)(文叔) 叔: 시규1‧초국2‧중규1‧중규2에는 뒤에 “弟侍”가 더 있음.【(禮謙)】, 兼呈經歷(具時中) 中: 시규1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文憲書院)學規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文憲書院)學規 一, 取士之法, 勿論長少, 取其有志學業, 名行無汚者, 院儒僉議許入。 會者未滿十員, 則不得定議。【曾參初試者, 備三員許入。】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文昭殿)先告事由文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文昭殿)先告事由文 文: 저본과 전순 두주에는 “文上恐脫祝字”。 외집에는 이 두주가 없음。 於肅閟殿, 式凈厥汚。 將綏玉座, 先事虔告。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明宗大王)挽詞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明宗大王)挽詞 詞: 전홍에는 ‘詞’가 빠져 있으나 시규1‧초국2‧중규1‧중규2 및 전순에 근거하여 보충하였음. 중규1에는 뒤에 ‘丁卯’가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晦齋)《大學補遺》後議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晦齋)《大學補遺》後議 聽訟一節, 別爲釋《本末章》, 尋常未知其穩當, 置之經文之末, 恐爲得宜。 但《經一章》, 朱子則以爲孔子之言, 晦齋則以爲曾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景魯)惠硯, 以詩謝之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景魯)惠硯, 以詩謝之 靑蘿處士好事者, 贈我風林月石硯。 體堅何殊出崑玉, 色淨無瑕誰所鍊? 騰山龍虎世所乏, 自恨不識鍾王面。 我今無事不出門, 默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曹雲伯)【(駿龍)】卜居(松都)(遮日巖)下。 草堂甚蕭灑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曹雲伯)【(駿龍)】卜居(松都)(遮日巖)下。 草堂甚蕭灑 千嶂環回翠峽開, 巖流一泒出雲來。 詩翁選勝茅齋淨, 孤坐凝神百事灰。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曹雲伯)來訪贈詩, 次其韻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曹雲伯)來訪贈詩, 次其韻 卜築生涯定, 山阿面勢巖。 逕開林外石, 雲宿水邊簷。 嘉客高軒過, 淸宵樂事兼。 灘聲來不歇, 更覺雨餘添。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李伯生)【(純仁)】、(趙公保)、(尹仲說)【(箕)】、(崔立之)【(岦)】、(崔嘉運)【(慶昌)】及(趙兄)【(大男)】、(季獻), 與余共泛舟(于楊花)渡傍(仙遊島)。余將有西行, 故諸君出餞也。 (嘉運)出城時有詩, 因次韻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李伯生)【(純仁)】、(趙公保) 公保: 속1에는 ‘擴’이라는 이름이 부기되어 있음. 趙擴은 선조 때의 문신. 、(尹仲說)【(箕)】、(崔立之)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李子修)【(俊民)】令公陞資, 重按關西, 過別余索詩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李子修)【(俊民)】令公陞資, 重按關西, 過別余索詩 重佩西門鑰。 臨江敍別情。 黎元望旌節, 草木識威聲。 聖主紆深眷, 慈親享遠齡。 一方成樂土,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