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술자료 37,820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후실장가 들다 죽은 남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설화의 내용과 같은 민요가 수집되어 있다. 제보자의 더듬거리는 노래투의 이야기 조를 살피면 민요의 설화화를 감지케 한다. 이러한 현상은 민요와 설화의 교류에서 고찰해 볼 만한 일이다.*
    조사일시1979-06-07 | 조사장소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2동 | 제보자윤유낙
  • 후실장개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79-08-01 | 조사장소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문덕1동 | 제보자백이흠
  • 후실장개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4-08-22 | 조사장소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 제보자송봉순
  • 후실장개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79-10-01 | 조사장소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대황2동 | 제보자이내미
  • 후영산 갈가마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지신밟기 노래가 끝나고 서로 이 노래, 저 노래 하라고 대화를 하는 사이에 한 청중이 노래를 시작했다. 박찬옥씨가 그 뒤를 이어 노래를 불 렀는데, 방바닥을 쓸며 밭일 하는 흉내를 내면서 노래를 불렀다. 예전에 밭을 맬 때 부르던 노래라고 말했다. 예전부터 최근까지...
    조사일시2010. 2. 26(금) | 조사장소경상북도 포항시 청하면 신흥리 마을회관 | 제보자박찬옥
  • 후처장가 가지마소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 | 제보자박연악
  • 후토당, 성황당, 삼신당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장이 자료 제공을 위해 자기 부친인 제보자를 찾아 보냈다. 찾아온 까닭을 이야기하니, “이 동네는 전설이 허황해요.” 하면서 조사자가 묻는대로 지명에 대한 유래를 단편적으로 이야기했다. 이들 내용은 단편적이기 때문에 마을 개관에서 밝히기로 하고 바로 채록하지 않는...
    조사일시1982-06-05 | 조사장소경상북도 봉화군 법전면 | 제보자홍성옥
  • 후포마을에서 대접받은 신돌석 장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후포1리는 예로부터 인심이 좋은 마을로 외지에 소문이 났다고 이야기를 했다. 인심이 좋은 마을이라고 소문이 나게 된 연유에 대해 이야기를 하던 중 신돌석 장군에 대한이야기를 시작하였다.
    조사일시2011. 01. 28(금) | 조사장소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후포1리 마을회관 477-1 | 제보자이원태
  • 후포어른 나라돈 먹은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1-07-28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산내면 | 제보자손윤호
  • 훈련대장 이영자의 장군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 이야기는 앞의 이야기에 이어서 장군의 기개 이야기를 해 준 것이다. 효자 이야기를 생각하다 이 전설이 떠올라 해 준 것이다. *
    조사일시1982-01-12 | 조사장소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조양리 | 제보자김병효
페이지 / 3782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