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다문화 사회를 구성하는 이주민은 '한국 속의 세계’로서 다문화 이주민의 설화 자료를 한국설화 연구의 대상으로 포섭함으로써 한국설화 연구의 지평을 세계적 범주로 확장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나비가 된 언니

서지사항
자료명나비가 된 언니
국가필리핀
이야기분류전설
제보자마리사콘데(오혜진) [필리핀, 여, 1984년생, 결혼이주 11년차]
조사일시2019. 03. 07(목) 오후
조사장소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양1동
조사자신동흔, 김정은, 엄희수, 강새미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타2016년도 한국학진흥사업 선정 연구결과임.
[◀ 이전 이야기 ]   [ 처음 이야기 ]      [ 다음 이야기 ▶]  

줄거리


옛날에 파로와 펄라 두 자매가 살았다. 동생 펄라는 부지런한데 언니 파로는 동생에게만 일을 시키고 꽃구경을 하는 등 자기가 하고 싶은 일만 했다. 하루는 펄라가 음식을 준비했는데, 파로가 맛이 없다고 했다. 화가 난 펄라는 파로에게 음식을 만들라고 했지만, 파로는 자기가 왜 하냐며 집을 나가 꽃밭으로 갔다. 펄라는 파로를 따라갔지만, 이미 파로는 강물에 빠져있었다. 펄라가 소리를 지르는 것을 듣고 동네사람들도 나와서 같이 파로를 찾았지만 결국 찾을 수 없었다. 파로가 빠진 곳에서 하얀 식물이 자랐는데, 꽃인듯 하면서도 날아가다 멈추다를 반복하였다. 펄라는 계속 해서 파로를 불렀지만 잡을 수 없었다. 파로는 죽어서 나비가 된 것이다. 필리핀에서는 나비를 ‘파로파로’라고 부른다.

구연상황


〈게으른 후안〉 구연을 마치고, 제보자가 준비해온 이야기 중 나비에 관련된 전설을 이어서 하였다. 슬픈 자매의 이야기라고 소개하며 구연을 시작하였다.

본문 ▶ ▶ [ 음성듣기 ]


옛날 옛적에 펄라하고, 잠시만요. [조사자1: 이름이?] 자매 이름이 펄라하고, 파로라는 자매가 있었어요. [조사자1: 펄라와 파로?] 네. 부모가 없고 이제, 어 잠시만요. 부모가 없으면 뭐라 해야 되죠? [조사자1: 고아?] 아, 고아. 고아 자매 둘인데요, 펄라하고 파로예요. 이제 펄라는 되게 착하고 부지런한 아이였고, 펄라는 동생이에요. 파로가 언니에요. [조사자1: 파로가 언니? 파로는 부지런했고?] 어, 아니에요. [조사자2: 동생이 부지런하고.] 하고, 파로가 좀 약간 자기가 언니니까 자기 뜻대로 하고 자꾸 동생을 일을 시키고 자기 하고 싶은 것만 해요. (일동 웃음) 파로는 되게 꽃을 너무 좋아해요. 그래서 집에는 그 꽃밭을, 꽃밭이 있었어요. 항상 거기 꽃을 키우고. 항상 거기서 뭐 꽃 냄새 맡고, 보고 했어요. 그런데 또 그 생활비를, 꽃을 키우고 있으니까 생활비는 이제 그 꽃을 파는 일을 하고 있어요. 그런 일을 하고 있어요, 자매가.
그래서 펄라가 좀 이제 항상 집에서 음식을 준비해줘요. 그래서 어느 날에 그 펄라가 준비한 음식을 파로가 맛없다고 했어요.
“이게 뭐야? 왜 이렇게 맛없어?”
그러는 거예요. 그래서 펄라가
“왜 그래 언니? 먹을 것은 이거밖에 없단 말이야.”
한 거예요.
“그럼 어떡해? 그럼 나중에 네가 좀 요리 해봐 언니.”
그러면
“안 돼. 내가 언니니까 내가 왜 요리를 해?”
잠시 만요. 단어가 안 나와요. 생각이 안 나요. [조사자1: 왜 내가 해야 돼? 나만 해야 돼?]
“왜 나만 해야 돼? 니가 동생이니까 네가 해야지.”
라고 해서, 그러니까 그냥
“네가 해야지.”
하고 그냥 집 밖으로 나간 거예요. 마음이 속상하니까 또 이제 꽃을 보러 왔어요. 하고 이제 꽃을 한 송이를 따고 이제 머리에다가 꽂았어요. 이제 펄라는 언니랑 싸우면 안 되니까 펄라는 이제 밖으로 따라갔어요. 근데 펄라(파로)는 이제 꽃을 머리에 끼고 자기 모습을 보려고 강으로 갔어요. 이제 강에다 자기 모습을 보다가, 이제 자기 잘못했기 때문에 이제 그만 강에서 빠진 거예요. 이거 자기 모습 보다가, 그 모습, 강에서 빠진 모습을 펄라가 목격한 거예요.
“언니!”
라고 부르는 거예요.
“언니!”
하다가 가봤더니 그 빠진 데에서, 펄라가 거기에서 가봤더니 펄라(파로) 모습이 안 보이는 거예요. 그래서
“언니!”
아,
“파로!”
라고 부르는 거예요.
“파로!”
막 소리 지르고. 그래서 옆집 사람들도 그 소리를 듣고 알게 된 거예요. 파로가 뭐 같이 파로를 찾으러 옆집 사람들까지 다 찾으러 갔는데. 파로 모습이 보이지 않았어요. 그래서 계속 펄라가 너무 파로,
“파로! 파로!”
라고 계속 부르는데 안 나타나는 거예요 모습이. 그래서 어쩔 수 없이 그 강에서 빠진 데 사람들 그냥 찾아보고 너무 슬프게 찾아보는 거예요, 강을. 그래서 이제 그 강에서 빠진 데에서, 그 어떤 식물이 나온 거예요. 하얀색? 막 이렇게 나타나는 거예요. 뭐 꽃이라고, 꽃인데 점점 그 꽃 모습은 점점 변하는 거예요. 하고 결국은 그 꽃 모습은 날아가는 거예요. 뭐 어떤 식물이라고, 아, 잠시만요. [조사자1: 곤충?] 곤충보다는, 아, 잠깐만요. 어떤 단어였지? 죄송해요. [조사자1: 괜찮아요.] 생물이라고 해야 하나요? [조사자1: 아, 생물처럼 막 날아갔어? 살아있는 것처럼 날아갔구나. 꽃이었는데, 네.] 꽃이었는데, 그 생물. 사람들은 생물을 보고 이제 날아가는 걸 따라갔더니 그 밭에서, 꽃밭에서 간 거예요. 가고, 있고, 또 가고. 또 꽃도 막 움직여 다녔어요. [조사자1: 파로가 키웠던 꽃이 이렇게 움직이면서 가는군요.] 그래서 펄라가 그걸 보고 자기도 모르게
“파로! 파로!”
라고 부르게 된 거예요. 그래서 생물이 ‘파로파로’라고 불리게 됐어요. 그래서 ‘파로파로’라는 말은 나비라는 뜻이에요. 네. [조사자1: 나비가 됐군요. 이게 다 이렇게 사라지는군요, 진짜.] 그러니까요. 이게 사람이 사라져요. [조사자1: 그래서 이번에는 그렇게 나비가 된 거 였구나.] 나비가 꽃에서 계속 있으니까. 파로가 전에 항상 쉬듯이 그렇게 했기 때문에 파로라고 생각한 거였어요. [조사자1: 재미있다. 전설 되게 많네요.] 네, 엄청 많아요. 근데 전설이 안 좋은 게, 사람이 사라져요. (웃음) [조사자1: 사라지네요 진짜.] 네. [조사자3: 게으름을 피우고 꽃만 찾으러 다니고 놀던 언니가 나비가 된 거예요?] 네. 그렇게 된 거였어요. 다른 전설도 보면은 다 사람이 사라지고 그 사람 성격으로 과일, 어, 성격으로 똑같이 나타나니까. 그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거예요, 그 과일이. 두리안처럼? (웃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