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556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단행본(3)
- 언어로 본 한국인의 문화유전자한국어 속에 담겨 있는 문화요소를 설명하고 있다.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사랑하고, 한류의 근원을 알고 싶은 사람에게 권한다. 도리도리, 곤지곤지를 비롯한 유아어부터 칠성, 숟가락, 온돌, 스승, 선비, 무당, 아리랑 등의 어휘 그리고 아름답다, 반갑다, 사랑하다, 좋다...
- 민속사상과 민족종교한국에도 ‘한국철학사’가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여타의 민속사상에 관한 내용이 없다. 한 예로 한국의 산신사상, 수목사상 혹은 무속사상은 철학사의 대상에서 빠져 있다. 세계의 어디든 민속사상의 바탕 위에 철학이나 종교가 성립했다. 그것은 시간의 조만과 무관하다. 우리...
- K컬처 트렌드 2024각 분야에서 활약하는 평론가, 창작자, 기자 등을 모아『K컬처 트렌드 2023』을 냈던 이들이 다시 한 번 모였다. 이번에는 웹툰까지 포함하여 부문을 확대했고, 드라마 부문에서는 예능까지 포괄하여 내용을 풀어냈다. 저자들은 앞으로도 매년 K컬처, 한국 대중문화의...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동영상강좌(520)
- 한류와 K-pop의_정의_1주차_1차시강의자김태룡 | 주차한류와 K-pop의_정의_1주차
- 한류와 K-pop의_정의_1주차_2차시강의자김태룡 | 주차한류와 K-pop의_정의_1주차
- 한류와 K-pop의_정의_1주차_3차시강의자김태룡 | 주차한류와 K-pop의_정의_1주차
- 한류와 K-pop의_정의_1주차_4차시강의자김태룡 | 주차한류와 K-pop의_정의_1주차
- 한류와 K-pop의_정의_1주차_5차시강의자김태룡 | 주차한류와 K-pop의_정의_1주차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논문(33)
- 다의어 학술기본어휘의 전문의미 탐색과 교육적 고찰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 중국 조선족 작가가 형상화한 여성 판소리 예인, 그 소설적 상상력 -한국소설에서의 형상과 비교하여-한국문학과 예술
- 일제강점기 서울지역 지명의 개명 현황과 반성지명학
- 하우스 뮤지엄의 전시 소재와 의미에 대한 고찰 : ‘딜쿠샤(Dilkusha)’ 사례를 중심으로인문콘텐츠
- 백제 고도의 집경시에 나타난 백제의 기억동아시아고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