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

본 연구는 동북아적 맥락에서 (고)기후궤적을 복원하고 이를 한국 선사시대 석기상의 변화와 비교하면서 ‘기후’라는 요소를 우리 선사(도구)문화 변천과정을 이해ㆍ설명하는 작업이다.

전체 15,218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1)

  • 기후, 문화 그리고 인간: 한국 선사시대 사회문화적 변화에 대한 고고학, 기후학, 공간정보학의 학제적 연구
    기후만큼 인류의 생존과 활동에 오랫동안 영향을 미친 요소도 없을 것이다. 그 영향력 또한 가히 불가항력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선사문화 변천에 ‘기후(변동)’가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듯하다. 이 책...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222)

  • 가평 달전리 유적_SN01101
    대표표제어가평 달전리 유적_SN01101지역경기도시기청동기후기
  • 가평 대성리유적_SN01201
    대표표제어가평 대성리유적_SN01201지역경기도시기청동기후기
  • 가평 대성리유적_SN01202
    대표표제어가평 대성리유적_SN01202지역경기도시기청동기
  • 가평 연하리유적_SN01301
    대표표제어가평 연하리유적_SN01301지역경기도시기청동기전기
  • 강릉 교동 유적_SN09001
    대표표제어강릉 교동 유적_SN09001지역강원도시기청동기전기

결과보고서-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1)

  •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
    자료유형연구보고서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14,979)

  • 강원도_ST2017003475
    대표표제어강원도_ST2017003475 | 유적명동화리
  • 강원도_ST2017003657
    대표표제어강원도_ST2017003657 | 유적명산천리
  • 강원도_ST2017003658
    대표표제어강원도_ST2017003658 | 유적명산천리
  • 강원도_ST2017003659
    대표표제어강원도_ST2017003659 | 유적명산천리
  • 강원도_ST2017003660
    대표표제어강원도_ST2017003660 | 유적명산천리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15)

  • 고고학자료 정리를 위한 시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성에 관한 연구: 신석기 유적 관리를 사례로
    국토지리학회지
  • 고고현상의 空間性에 대한 定量的 理解: 靑銅器時代 石製道具 분포에 대한 連續・多層的 分析을 기초로
    고조선단군학
  • 기후 변동의 고고학: 일본고고학 연구 사례의 비판적 검토
    先史와 古代
  • 신석기시대의 기후 변동과 석기 조성의 변화
    한국문화연구
  • 유적 위치정보 기록을 위한 지오코딩 방안 연구
    국토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