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논매기소리 녹음자료를 이용하여 각 광역도별 민요에 관한 음악적‧사설적 특징과 사회적‧문화적 기능, 지리적 풍토 등을 분석 및 DB를 구축하고, 최종적으로 전자문화지도를 기반으로 한 웹사이트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방법으로는 Tape로 저장된 논매기소리 디지털화, 『한국의 논매기소리 연구』 발간, 한국의 논매기소리를 전자문화지도 기반으로 한 웹사이트 구축 등 이다.

전체 1,509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8)

  • 충남지방 논매기소리 총서(상)
  • 충남지방 논매기소리 총서(하)
  • NOISE REDUCTION
  • 경남 고성군 민요집
  • 경남지방 논매기소리 총서(하)

1980년대 논매기소리 DB(1,490)

  • 충청북도 괴산군_1.진방아 2.짜른 방아
    방아소리 류는 괴산지방의 보편적인 아시매기소리이다. 긴방아와 느린방아(중 방아, 중거리 방아) 및 짧은 방아가 있다. 1. 현지에서 긴방아라 일컫더라도 받음구 해당 말에 ‘방아’
    녹음지역충청북도 괴산군 문광면 문법1리 | 녹음날짜1988.6.16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충청북도 괴산군_잘하네 못하네
    괴산군 논 이듬매기 때의 주된 소리이다. 잘하네 곡은 상선지방(상주시와 옛 선산군)을 문화중심으로 하는 유장한 소호니 류의 잦은소리로서, 충북형이다. 충북형 중에서도 잘하네 ‘못하
    녹음지역충청북도 괴산군 문광면 문법1리 | 녹음날짜1988.6.16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충청북도 괴산군_대허리
    ‘대’허리란 “일어나지말고 단번에 매자”는 일 독려의 뜻이다. 강원도의 단허리와 이웃 사촌격이다. 충북에서는 단허리도 분포하지만, 괴산군은 대허리 단일 지역이다.
    녹음지역충청북도 괴산군 문광면 문법1리 | 녹음날짜1988.6.16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충청북도 괴산군_얼럴럴 상사
    잦은 상사소리를 충청도와 경기도, 강원도에서는 논매기소리로 부른다. 전라도에서는 지터다짐소리로 분포한다.
    녹음지역충청북도 괴산군 문광면 문법1리 | 녹음날짜1988.6.16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충청북도 괴산군_1. 진방아 2. 중거리 방아 3. 짧은 방아 4. 잘하네 못하네
    1, 2, 3. 방아소리 류는 괴산지방의 보편적인 아시매기소리이다. 긴방아와 느린방아(중 방아, 중거리 방아) 및 짧은 방아가 있다. 4. 괴산군 논 이듬매기 때의 주된 소리이다
    녹음지역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도정리 | 녹음날짜1988.6.16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11)

  • 충청남도 논매기소리의 지리적 공간분포 특성 분석
    한국사진지리학회지
    유형논문
  • 지형요소를 기반으로 한 전북지역 논매기소리의 공간분포 특성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유형논문
  • 전라북도와 태국 깔라신 지방의 벼베기소리
    비교민속학
    유형논문
  • 충청남도 남동부에서 나타나는 논매기소리의 분포와 전파에 관한 연구 - 지형요소를 중심으로 -
    한국지형학회지
    유형논문
  • 충청남도 논매기소리의 공간적 분포와 전파에 미친 차령산맥 선구조의 영향: 느린 얼카덩어리 류와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류를 중심으로
    한국지형학회지
    유형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