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선사 > 청동기_고조선 16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선사 > 청동기_고조선
  • 가락식토기 / 可樂式土器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 민무늬토기의 형식. 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동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의 형식에 붙여진 이름이다. 1963년고려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발굴돼 출토유물은 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가지무늬토기 / ─土器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 민무늬토기의 형식. 어깨부분에 흑색 가지무늬가 있는 항아리형 토기로, 크기는 대체로 높이 20㎝, 너비 20㎝ 내외이다. 돌알갱이가 섞이지 않은 고운 바탕흙을 사용했고, 표면이 곱게 손질되어 있으며 색조는 대부분 밝은 갈색을 띠고 있다. 흑색 가지무늬는 토

  • 가지방울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 주술적(呪術的)인 의기(儀器). 전자에는 또 곧은 자루 양끝에 방울이 달려 있는 아령형태의 봉상쌍두령(棒狀雙頭鈴)과 둥글게 휘어 뻗은 자루 양끝에 방울이 달린 환상쌍두령(環狀雙頭鈴)의 두 종류가 있다. 이 밖에 같은 유적에서 세트로 발견되는 청동방울로 방사상

  • 각목돌대문토기 / 刻目突帶文土器 [역사/선사시대사]

    아가리 부분에 덧띠를 덧붙인 신석기∼청동기시대의 토기. 한반도 남부 지방 청동기시대 덧띠무늬 토기는 하남 미사리, 제천 황석리, 금산 수당리, 익산 영등동, 김천 송죽리, 경주 충효동, 순창 원촌, 진주 대평리 옥방5지구와 상촌리D지구, 어은1지구, 사천 본촌리, 제주

  • 간두령 / 竿頭鈴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 말기∼초기 철기시대에 제사장이나 지배자가 사용했던 무구(巫具). 이 시대의 제사장이나 지배자들은 자신의 정치·사회·종교적 권위와 위엄을 드러내기 위해 손에 들거나 짚었던 지팡이나 막대끝에 방울 모양의 장식을 끼워 사용하였다. 간두령은 가늘고 긴 장대의 머리에

  • 간석기 / ─石器 [역사/선사시대사]

    날 부분 또는 표면 전체를 갈아 만든 신석기시대 및 청동기시대에 주로 사용된 석기. ‘마제석기(磨製石器)’라고도 한다. 간석기의 종류에는 두 가지가 있다. 점성(粘性)이 강한 석재를 골라 격지[剝片] 또는 몸돌[石核]을 쓰고자 하는 용도에 맞게 대략 정형(整形)한 뒤,

  • 갑옷 / Armor [생활/의생활]

    전쟁에서 적의 화살이나 창검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하여 입었던 쇠나 가죽의 비늘을 붙여서 만든 옷. 갑(甲)은 갑옷, 주(胄)는 투구를 이른다. 갑옷은 전쟁에서 화살·창검을 막기 위해 쇠나 가죽의 비늘을 붙여서 만든 옷이며, 투구는 적의 무기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

  • 강계공귀리유적 / 江界公貴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자강도 강계시 공귀동(옛 평안북도 강계군 공북면 공귀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집터유적. 강계군에서 남쪽으로 약 15㎞ 떨어진 독로강변에 있다. 1954년 채토작업 중 돌살촉·돌도끼·반달돌칼 등이 발견됨으로써 알려진 뒤 1955년 5월에 발굴되었다. 유물은 돌살촉·돌도끼

  • 강계풍룡동유적 / 江界豊龍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평안북도 강계군 어뢰면 풍룡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분묘 유적. 장축(長軸)이 동서방향이고, 안쪽 길이 약 240㎝, 서쪽 너비 60㎝, 동쪽 너비 45㎝이며, 바닥은 동서 벽보다 약 15㎝쯤 높게 되어 있다. 출토유물은 토기 2점, 벽옥제 대롱옥(碧玉製 管玉) 27점,

  • 강남원암리유적 / 江南猿巖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평안남도 강남군 원암리 소매동(小梅洞)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집터유적. 동강변에서 남쪽으로 500m 떨어진 소매동의 구릉에 위치한다. 1954년원암국민학교 신축공사 때 발견되어 1955년정백운(鄭白雲) 등에 의해 팽이형토기인의 집터 2기가 발굴, 조사되었다. 그 가운데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1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