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원불교 2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원불교
  • 박길진 / 朴吉眞 [종교·철학/원불교]

    현대의 원불교인·교육자(1915∼1986). 일본 도요대학 철학과를 졸업, 1966년 동국대학교에서 명예문학박사학위, 1972년 대만문화학원에서 명예철학박사학위, 1981년 일본 불교대학에서 명예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942년부터 원불교에 봉직하기 시작하여 교단발전

  • 박대완 / 朴大完 [종교·철학/원불교]

    1885∼1959. 원불교의 교무. 전라남도 승주 출신. 13세에 일본으로 건너가 경도에서 소학교와 중학교를 졸업하였다. 귀국 후 인천통감부 직원·농장지배인 등으로 생활하다가 32세 때부터 만주·중국·러시아로 전전하며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1927년 소태산을 만나 전

  • 박중빈 / 朴重彬 [종교·철학/원불교]

    1891-1943. 항일기의 원불교의 교조이며 대종사(大宗師). 자는 처화(處化). 호는 소태산(少太山). 전남 영광에서 출생. 1916년 4월 28일 대각을 이루었다고 하는데, 뒤에 이 날을 원불교의 개교일로 정하였다. 1924년 전라북도 익산군에서 불법연구회를 조직

  • 법위 / 法位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의 인격 단계에 관한 교리. 법위등급이라고도 한다. 등급은 기초단계로서 보통급, 특신급, 법마상전급의 3급이 있고, 성위(聖位)의 단계로서 법강항마위, 출가위, 대각여래위의 3위가 있으며, 각 등급의 중간에 예비 등급을 두고 있다. 이 교리는 교조 이후 현재에 이

  • 변중선 / 邊衆船 [종교·철학/원불교]

    항일기의 독립운동가·교육자(1903∼1980). 휘문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중국 상해로 건너가 상해 동제대학에서 산부인과를 전공했다. 대학 재학시절부터 독립운동에 투신하여 상해 한인청년회장, 해외한인청년총동맹 중앙집행위원장,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국무위원 등을 역임했

  • 봉래정사 / 蓬萊情舍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의 제2성지. 소태산이 원불교의 교법을 제정한 곳이다. 전라북도 부안군 산내면 봉래산 실상사 뒷편에 있었다. 소태산이 구인제자들과 함께 방언공사와 혈인기도를 마친 1919년부터 1924년 이리에 익산총부를 건설할 때까지 머물던 곳이다. 6.25 당시 봉래정사와 실

  • 불조요경 / 佛祖要經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의 연원경전. 원불교의 교조 박중빈이 편집하였다. 1943년에 편찬된 <불교정전><사십이장경><현자오복덕경><업보차별경> 등의 다섯 경전과 <수심결><목우십도송><휴휴암좌선문> 등 세 편의 논이 수록되어 있다. 이 경전은 불법을 주체로 한 원불교 사상의 연원을 잘

  • 사요 / 四要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의 실천 덕목. 사은에 대한 보은의 구체적 방법이다. 자력양성, 지자본위, 타자녀교육, 공도자숭배를 말한다. 자력생활은 각자의 의무와 책임을 다하는 것이다. 지자본위는 항상 배울 줄 알아서 지식의 평등세계를 건설하자는 것이다. 타자녀교육은 교육평등의 세계를 건설하

  • 삼동윤리 / 三同倫理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의 2대 교주 송규(宋奎)가 제시한 원불교의 윤리강령. 송규는 1961년 원불교 대각개교기념식전에서 동원도리, 동기연계, 동척사업의 삼동윤리를 발표하였다. 세상의 모든 종교와 교파가 그 교리나 제도 또는 형식이 각각 특징과 차이점이 있으나 근본에 있어서는 하나의

  • 삼학팔조 / 三學八條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의 수련요법. 삼학은 인격완성의 세 가지 공부법으로서 정신수양, 사리연구, 작업취사를 말하며, 팔조는 삼학을 촉진시키는 신, 분, 의, 성과 삼학수행에서 버려야 할 불신, 탐욕, 나, 우를 말한다. 삼학은 원불교의 종지인 일원상의 진리를 신앙하고 이를 실현해 나가

1 2 3
페이지 / 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