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정치·법제 > 국방 209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정치·법제 > 국방
  • 강병수지 / 講兵須知 [정치·법제/국방]

    조선후기 의 군사용어를 풀이한 주석서.군서. 1책. 사본. 책머리에 ‘병자중하(丙子仲夏)’라고만 밝힌 저자의 서문이 있으나 저자와 간행연대는 미상이다. 저자는 서문에서 『병학지남 兵學指南』이 군사조련에 있어 가장 긴요한 병서임에도 이에 대한 마땅한 주석서가 없어서 참뜻

  • 관견도감 / 官絹都監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동정군(일본정벌군)의 군량미를 조달하기 위하여 세운 도감. 1274년(원종 15) 4월에 원나라는 여룡(如龍)과 우사(于思)를 파견하여 견(絹) 3만 3145필을 가지고 군량미와 바꾸려고 하므로, 고려에서는 곧 관견도감을 설치하고 경향인민에게 할당하여 쌀을 거

  • 광군사 / 光軍司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광군을 통제하던 관서. 통수부로서 광군사는 947년(정종 2) 개경에 설치되었다. 광군사의 존재는 광군이 비록 각지의 호족 지휘 아래 농민으로 조직된 예비군이라 하더라도, 중앙정부의 전국적인 통제 아래 통일된 군사조직이었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 광복군 / 光復軍 [정치·법제/국방]

    1940년 중국 충칭(重慶)에서 창설되었던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대. 광복군은 3개의 지대(支隊)로 편성, 제1지대장에 이준식, 제2지대장 공진원, 제3지대장 김학규가 취임하였다. 또, 1941년 1월에는 제5지대가 편성되어 나월환이 통솔, 제5지대는 원래 전지 공작원

  • 구성 / 龜城 [정치·법제/국방]

    고려 성종때 서희가 여진을 공축하고 성을 쌓아 구주(龜州)라 하였던 고장. 1455년(세조 1)에 구성군(龜城郡)을 신설하고 인근 주민과 지역을 이주·할속시켰으며, 세조 10년 2월에 구성군을 도호부(都護府)로 승격시켰다.

  • 구휼 / 救恤 [정치·법제/국방]

    군사의 질병을 구호하여 치료해주는 일. 군사를 거느린 장수는 항상 군사의 질병을 구휼하는데 마음을 써서 병사와 고락을 함께 하며, 질병으로 인한 사망자가 있을 때는 장례를 치루어 주고 관찰사에게 병고를 보고해야 한다.

  • 국군 / 國軍 [정치·법제/국방]

    1948년 8월 15일 창설된 우리나라의 군대. 해방 후 미군정에 의해 세워진 남조선국방경비대가 그 모체이다. 1946년 1월 설립 당시 1개 대대의 병력이었으며, 6월 15일에는 조선해안경비대가 발족했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수립과 함께 정식으로 국군

  • 국별장 / 局別將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훈련도감의 정3품의 관직. 정원은 3인이다. 변경지방에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을 우선 임명하였으며, 근무연한은 2년이었다. 임기를 마치기 전에 전직시켜야 할 경우에는 왕의 재가를 받아야 하였으며, 임기를 마친 뒤에는 승진되는 것이 원칙이었다.

  • 국별장청 / 局別將廳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훈련도감의 소규모 특수 관서. 훈련도감의 항오출신 무과급제자로 구성된 국출신 부대를 통솔하여 창덕궁의 후문인 영숙문과 숭지문의 숙위를 담당하였다. 여기에는 정3품 국별장 3인과 국출신 150인이 소속되어 있었다.

  • 국출신 / 局出身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훈련도감의 하급장교. 정원은 150인이다. 50인씩 3개국(局)으로 나뉘어 편성되었다. 이들은 일반병사들 중에서 무예시험을 통해 선발되었는데, 기원은 1637년(인조 15) 남한산성 방어전에 참여하였던 병사들 중에서 무예시험에 합격한 1,384인을 7개국으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2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