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한일청 / 韓一淸 [역사/근대사]

    1899년(광무 3) 11월 15일∼1960년 11월 29일.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사회주의운동가. 다른 이름은 한세(韓世)‧한용구(韓用求), 본적은 경상북도 예천(醴泉)이다. 1926년 6‧10만세운동에 가담하여 태극기와 격문을 배포하였고, 일본에서 조선운동의 기

  • 한일학생회의 / 韓日學生會議 [사회/사회구조]

    1985년 창설된 한국 대학생으로만 이루어진 일본 관련 대학생 학술단체. 한일학생회의(Korea Japan Student Convention, KJSC)는 1985년 창설되었고, 한국의 대학생으로만 이루어진 일본 관련 대학생 학술단체의 하나이다. 격년 단위로 여름에 한

  • 한일합병조약 / 韓日合倂條約 [역사/근대사]

    1910년 일본 제국주의가 대한제국을 완전한 식민지로 만들기 위해 강제로 체결한 조약. 1905년 11월에 체결된 을사5조약이 황제의 승인과 비준을 받지 못했기에 일제의 통감 및 통감부가 주체가 된 정책과 조약은 모두 효력을 상실하는 게 마땅하다. 한일합병조약이 한국측

  • 한일협정서 / 韓日協定書 [정치·법제/외교]

    1904년 8월 22일 일본이 내정개선이라는 구실 아래 고문정치를 실시하기 위해 한국에 강제로 압력을 가하여 체결한 협정. 러일전쟁을 일으킨 일본은 1904년 2월 한일의정서를 체결하고 외국고문을 초빙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이에 관한 협정체결을 강요했다. 이를 토대로

  • 한자 / 漢字 [언어/언어/문자]

    중국어를 표기하는 중국 고유의 문자. 소리를 단위로 만들어진 글자를 표음문자(表音文字)라 하고, 뜻을 단위로 만들어진 글자를 표의문자(表意文字)라 한다. 표음문자는 한 글자가 곧 한 단위의 소리에 해당할 뿐이며, 그것만으로 뜻을 드러내지는 못한다. 그러나 표의문자는 한

  • 한자교육 / 漢字敎育 [언어/언어/문자]

    한자·한문을 가르치는 일. 한자·한문 교육의 초기단계에서는 ≪천자문≫이 쓰였으며, 그러다가 우리 나라에서 유합류(類合類)·자회류(字會類)가 만들어져서 한자교육을 위한 교재로 사용되었다. 그 가운데 잘 알려진 것이 ≪유합≫과 ≪훈몽자회 訓蒙字會≫이다. 특히 ≪훈몽자회≫는

  • 한자어 / 漢字語 [언어/언어/문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한자의 결합으로 되어 한국어로서 사용되는 한국식 발음의 단어. ① 중국어에서 쓰이는 것이 그대로 쓰이되 발음이 한국식인 것 : 군자(君子)·필부(匹夫)·성인(聖人). ② 한국어에서 만들어져 쓰이고 중국어에서는 쓰이지 않는 것 : 전답(田畓)·기차

  • 한장군놀이 / 韓將軍─ [생활/민속]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중요무형문화재 제44호. 단오절의 단오굿에서 행해진다. 원래 한장군은 이 지역 단오굿의 중심행사인 여원무(女圓舞)에 등장하는 주인공 이름으로, 1969년 자인단오굿이 조사되고, 그해 가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여원무가 출연

  • 한장석 / 韓章錫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32∼1894). 예문관·홍문관의 제학, 예조·형조·이조의 판서, 함경도·경기도의 관찰사 등을 역임하였고, 유신환의 문인 가운데 김윤식·민태호와 함께 당대의 문장가로 유명하였다. 저서로는《미산집》이 있다.

  • 한재호 / 韓在鎬 [역사/근대사]

    1901-1969. 독립운동가. 일명 기복(基福). 경기도 안성 출신. 1919년 4월 1일 원곡면사무소 앞에서 1,000여명의 만세시위대의 일원으로 참가하여 독립만세를 외치고, 태극기를 앞세우고 양성면 동항리로 행진하였다. 원곡면과 양성면을 경계로 하는 고개에 이르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