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시경가 / 時警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 가사(東學歌辭). 목판본. 1944년경상북도 상주의 동학 본부에서 간행된 『용담유사 龍潭遺詞』 권38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는 김주희(金周熙)라고 전하나 확실하지 않다. 김주희가 죽은 뒤 간행된 이 작품의 판권란에는 ‘저작 겸 발행인 김주희’가

  • 시경언해 / 詩經諺解 [언론·출판/출판]

    시류(詩類). 선조(宣祖) 명찬, 목판본, 한성(漢城), 규장각 1820년(순조 20), 20권 7책. 표제는 시경해(詩經解), 간기는 경진(庚辰, 1820) 신간내각장판(新刊內閣藏板). 선조의 명으로《시경(詩經)》의 원문에 구결을 달고 언해한 것을 1820년에 다시

  • 시계 / 時計 [과학기술/과학기술]

    시간을 재거나 시각을 타타내는 기계나 장치를 통튼 것이다. 물과 모래, 향이나 초, 별과 달의 운동 등을 이용한 시계를 자연시계라고 하는데,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시계는 기계시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5세기 자격루 등이 복잡한 기계장치를 활용한 물시계였지만,

  • 시국제입장제생 / 示菊製入場諸生 [정치·법제]

    1798년(정조 22) 9월 9일. 정조가 반궁에서 국제(菊製)를 시행할 때에 여러 유생에게 유시한 문서.《정조실록》,《홍재전서》에 이 내용이 실려 있어 작성시기와 작성인 내용을 알 수 있다. 제생이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하자 특별히 유시한 것이다. 보물 제1632-3호

  • 시누이 / 媤─ [사회/가족]

    남편의 누나나 여동생을 가리키는 친족용어. 시(媤)는 ‘시집’·‘시가’를 뜻하는 접두사이며, 누이는 순수한 우리말이다. 줄임말로는 ‘시누’·‘시뉘’라 한다. 남편의 손윗누이는 ‘큰시누이’, 손아랫누이는 ‘작은시누이’로도 일컫는다. 한편, 시누이쪽에서는 오빠나 남동생의

  • 시다림법 / 尸陀林法 [종교·철학/불교]

    불교에서 죽은 사람을 위하여 설법하는 종교의식. 죽은 사람을 위하여 설법하고 염불하는 것은 9세기경 중국에 있었던 신라사원 적산원(赤山院)에서 이미 행하고 있었으므로 신라시대 이래의 관습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도 성행하였고 오늘날에도 행하여지고 있다. 시다림

  • 시도 / 矢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북도면 시도리에 있는 섬. 동경 126°26′, 북위 37°33′에 위치하며, 인천에서 서북쪽으로 18.8㎞ 지점에 있다. 북도면의 주도로서 면사무소가 자리하고 있다. 동쪽으로 신도가 위치하고 서쪽으로 모도와 마주하고 있는데, 이들 두 섬과는 각각 연

  • 시독관 / 侍讀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경연의 정5품 관직. 조선 태조 때에는 고려의 제도인 강독관 4인을 두었었는데, 정종 때에 시강관과 시독관으로 분리하였다. 그 뒤 세종 때에는 집현전의 직제학이 이를 겸하였으며, 성종 이후에는 홍문관의 교리와 부교리가 이를 겸하였다.

  • 시동생 / 媤同生 [사회/가족]

    남편의 남동생을 가리키는 친족용어. ‘시집’·‘시가’를 뜻하는 접두사 시(媤)에 동생을 합하여 이룩한 말이다. 이는 간접호칭이며, 직접 부를 때는 ‘도련님’·‘서방님’이라 한다. ‘도련님’은 혼인 전의 시동생을, ‘서방님’은 혼인 뒤의 시동생을 부를 때에 사용한다. 남

  • 시디미 / 시디미 [지리/인문지리]

    1867년에 러시아 포시예트 지역으로 이주한 조선인들이 세운 마을. 19세기 중반 이래 러시아로 이주한 한인들이 주로 머물러 살았던 마을이다. 1914년 경에는450여 가구 2천여 명의 한인이 거주하여, 주변의 아디미 마을과 함께포시예트 지역의 대표적인 한인 마을로 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