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승전무 / 勝戰舞 [예술·체육/무용]

    통영(충무)에서 전승되어 온 궁중무고형(宮中舞鼓型)의 북춤. 중요무형문화재 제21호.창사(唱詞) 내용의 일부에 이순신(李舜臣)의 충의와 덕망을 추앙한 부분이 있어 승전무라고 한다. 궁중에서는 ‘무고(舞鼓)’라는 이름으로 기녀와 무동들에 의하여 전승되었고, 현재도 전해지

  • 승정원 / 承政院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던 관청. 1405년에 육조 강화책의 하나로 승추부가 병조에 흡수되면서 대언사는 승정원으로 다시 개편되어 독립된 기구로 부활하였다. 그 뒤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 이후 승선원으로 개칭될 때까지 존속하였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승

  • 승정원일기 / 承政院日記 [언론·출판/출판]

    조선시대에 왕명의 출납을 맡아보던 승정원의 내용을 매일 기록한 일기. 주로 승정원의 주서 또는 가주서가 작성하였다. 특히 영조 20년(1744)과 고종 25년(1888)의 화재로 후반부도 영조 23년(1747)과 고종 26년(1889)에 각각 개수되었다 현전하는 승정

  • 승주 / 昇州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순천 지역에 있었던 지명. 백제시대까지는 감평군(欿平郡) 또는 사평(沙平)·무평(武平)이라고 하였다. 신라에 편입된 뒤 757년(경덕왕 16)에 감평군은 승평군(昇平郡)으로 개칭되었는데, 승주(昇州)라고도 하였다. 후삼국시대에는 후백제에 속하였다가, 고려에 편

  • 승주낙수리유적 / 昇州洛水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남도 순천시(옛 승주군) 송광면 낙수리에 있는 원삼국시대의 집자리 유적. 1985년 주암(住巖)댐 수몰지구 지표조사에서 확인되었다. 낙수리는 북서에서 남동으로 뻗은 낮은 구릉의 남쪽 경사면에 자리하는데, 유적은 마을의 동쪽 끝에 ㄱ자형으로 돌출한 구릉상에 위치한다.

  • 승주달집태우기 / 昇州─ [생활/민속]

    전라남도 순천시 월등면 송천리에서 전승되는 민속놀이.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24호. 달집태우기는 송천리를 비롯한 전라남도 동부산간지역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는데, 정월 보름에 기풍(祈豊)·점풍(占豊)·도액(度厄)을 목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놀이의 명칭은 생(生)나무로 조

  • 승주오봉리지석묘 / 昇州梧峯里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남도 순천시(옛 승주군) 송광면 오봉리에 있는 고인돌군. 조사된 고인돌 중 많은 것들이 지석(支石)은 있으나 하부구조가 확인되지 않아, 조사자들은 토광(土壙)의 존재가능성을 상정했으나, 그 흔적은 확인되지 않았다. 출토유물로는 민무늬토기·붉은간토기·돌화살촉·간돌검·

  • 승주호 / 昇州湖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송광면과 보성군 문덕면에 걸쳐 있는 호수. 유역 면적은 1,144.6㎢로서 저수용량은 총 5억 7백만㎦이고 홍수조절용량이 8천만㎦에 이른다. 승주호는 발전과 홍수조절은 물론 광주광역시를 비롯하여 여수·순천·광양 등 호남 일원의 용수난을 해결하기

  • 승중 / 承重 [사회/가족]

    아버지와 할아버지를 모두 여읜 사람이 조부와 증조부를 잇는 가족제도. 세 가지의 뜻이 있다. 첫째는 종법(宗法)에 의하여 대종(大宗)에 후계자가 없으므로 소종(小宗)의 지자(支子)가 대종의 가계를 잇는 경우이며, 이 사람을 인후자(人後者) 또는 승중자(承重子)라고 한다

  • 승지 / 承旨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승정원의 정3품 당상관. 도승지·좌승지·우승지·좌부승지·우부승지·동부승지 등 6승지를 말하며,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