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 미술과 공예 3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미술과 공예
  • 김홍도필 산수인물도 / 金弘道筆山水人物圖 [예술·체육/회화]

    조선 후기에 김홍도가 그린 산수인물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화원(畵員)으로 꼽히는 김홍도(金弘道, 1745∼1806 추정)가 그린 「산수인물화」로, 화면은 거대한 절벽과 폭포, 그리고 배를 탄 어부들로 구성되었다. 오른쪽 여백에 당나라 시인 유종원(柳宗元)이 쓴 「어

  •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 金弘道筆風俗圖畵帖 [예술·체육/회화]

    조선 후기의 화가 김홍도(金弘道)가 그린 풍속화. 보물 제527호. 25엽으로 이루어진 화첩으로, 종이 바탕에 수묵과 옅은 채색으로 그렸으며 크기는 각각 세로 27㎝, 가로 22.7㎝이다. 이 화첩 그림들은 주변의 배경적 설명을 간단하게 처리하고 풍속 자체에 역점을

  • 김홍도필추성부도 / 金弘道筆秋聲賦圖 [예술·체육/회화]

    1805년(순조 5) 김홍도가 「추성부(秋聲賦)」를 소재로 하여 그린 산수화. 보물 제1393호. 「추성부」는 중국 송나라 때의 문인 구양수(歐陽修)가 지은 글로, 조선 후기의 화가 김홍도가 이를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 화면의 왼쪽에는 「추성부」 전체의 글이 김홍도

  • 노안도 / 蘆雁圖 [예술·체육/회화]

    갈대와 기러기를 함께 그린 그림. 기러기는 동양의 옛 산수화에 있어 가을 경치를 대표하여 ‘소상팔경도’ 가운데 ‘평사낙안(平沙落雁)’이 포함되기도 한다. 노안도(蘆雁圖)의 노안을 노안(老安)과 같은 의미로 여겨 노후의 안락함을 기원하는 그림으로도 그렸다.

  • 대쾌도 / 大快圖 [예술·체육/회화]

    조선 말기의 화가 유숙(劉淑)이 그린 것으로 전하는 풍속화. 종이 바탕에 채색으로 그렸고 크기는 세로 105㎝, 가로 54㎝이며, 서울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씨름하는 동자들과 그것을 구경하는 사람들을 조감(鳥瞰)에 가까운 시점으로 그렸다. 이 그림은 화면의 왼쪽

  • 도림사괘불 / 道林寺掛佛 [예술·체육/회화]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월봉리 도림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괘불탱. 1683년(숙종 9)작. 삼베바탕에 채색. 세로 7.76m, 가로 7.19m. 전라남도유형문화재 제119호. 계오(戒悟)·삼안(三眼)·신균(信均)의 세 화원(畵員) 비구(比丘)가 그렸다. 항마촉지인(降魔

  • 독서당계회도 / 讀書堂契會圖 [예술·체육/회화]

    1531년(중종 26)에 제작된 작자미상의 계회도. 1531년(중종 26)에 제작된 계회도로 족자 형식이며 비단 바탕에 수묵담채로 그렸다. 크기는 세로 91.5㎝, 가로 62.3㎝이며, 일본의 개인 소장품이다. 현재까지 발견된 계회도 중 가장 오래된 작품이다. 조선 초

  • 동궐도 / 東闕圖 [예술·체육/회화]

    조선시대 법궁인 경복궁의 동쪽에 위치한 창덕궁과 창경궁을 상세하게 그린 궁중회화. 국보 제249-1호, 제249-2호. 현재 동궐도는 크기, 구도, 화풍이 거의 동일한 두 작품이 고려대학교박물관과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에 1점씩 소장되어 있다. 원래의 형태를 간직하고 있

  • 맹견도 / 猛犬圖 [예술·체육/회화]

    서양화법으로 그려진 조선후기의 작품. 기존에는 단원 김흥도의 작품으로 전해졌으나, 화면의 왼편 상단부에 찍혀 있는 '사능'과 '김홍도'라는 중문방인이 1910년대에 서울 북촌의 어느 고가에서 발견된 직후 소희동 등에 의해 찍혀진 위인이었음이 밝혀졌다. 굵은 쇠사슬에 묶

1 2 3 4
페이지 / 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