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 강문영 / 姜文永 [역사/근대사]

    1915-1947.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전라남도 해남군(海南郡)이다. 해남공립보통학교(현 해남중학교)를 졸업하고 광주공립고등보통학교(현 광주제일고등학교)에 입학하여 수학하였다. 1929년 6월 광주공립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장재성(張載性) 등 동학생 20여

  • 강문주 / 姜文周 [역사/근대사]

    1879-1945.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본관은 진주(晉州)이다. 전라북도 옥구군(沃溝郡) 대야면(大野面) 지경리(地境里)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강치국(姜治國) 또는 강치국(姜致國)이며, 6대 독자이다. 소년시절 주경야독(晝耕夜讀)을 하였다. 서당에서 한학공부를

  • 강문진 / 姜文鎭 [역사/근대사]

    1869-1929. 독립운동가. 본관은 진주. 호는 중현(中見), 또는 중현(仲現). 나주 출생. 1920년에 전협(全恊) 등이 조직한 대동단(大同團)에 입단, 군자금을 모금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조달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의 활동지역은 금산과 공주지역으로 192

  • 강문호 / 康文昊 [역사/근대사]

    1898-1986.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목사. 호는 삼우(三憂)이며, 본관은 신천(信川)이다. 제주도 서귀포시(西歸浦市) 중문동(中文洞)에서 출생하였다. 1914년 강규언(姜圭彦)과 같이 기독교 신자가 되었고, 전북 옥구군(沃溝郡)의 영명중학교(永明中學校), 서울

  • 강박 / 姜樸 [종교·철학/유학]

    1690(숙종 16)∼1742(영조 18). 조선 후기의 문신. 강홍익의 증손, 할아버지는 강언, 아버지는 강석훈, 어머니는 이서우의 딸이다. 큰아버지인 강석번에게 입양되었다. 1714년(숙종 40) 절일제에 장원, 이듬해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홍문관정자, 부교리

  • 강병일 / 姜秉一 [역사/근대사]

    1888-1928. 독립운동가. 일명 병일(丙日). 함경북도 회령 출신. 1919년 만주 길림성 혼춘현(琿春縣)에 거주하는 동포들에게 애국사상을 고취하였다. 또한, 휘하의 의사단(義士團)과 최경천(崔慶天)의 포수단(砲手團)을 통합, 군무부(軍務部)를 조직하여 항일투쟁을

  • 강복선 / 姜復善 [종교·철학/유학]

    1852(철종 3)∼1891(고종 28) 아버지는 강응주, 어머니는 청주 한씨이다. 유시수를 스승으로 섬겼다. 유시수의 문인 중에 이항로에게 수학했던 홍대심이라는 자가 있어 그와 사우관계를 맺었다. 이익의 문집을 교정하는 일에 참여 요청을 받은 적이 있으나, 끝내 성사

  • 강복성 / 康復誠 [종교·철학/유학]

    1550(명종 5)∼1634(인조 12). 조선 중기의 문신. 강중진의 증손, 아버지는 강유선이다. 1579년(선조 12) 사마시에 합격한 뒤, 참봉·직장·찰방 등을 역임하였다. 1595년유성룡의 천거로 장현광 등과 함께 발탁되어 장수현감이 되었으며, 곧 김제군수로 옮

  • 강복중 / 姜復中 [문학/고전시가]

    1563년(명종 18)∼1639년(인조 17).조선 중기의 문신. 고조부는 중화재(中和齋)강응정(姜應貞)이며, 아버지는 광흥창봉사강령(姜齡)이다. 학문은 그다지 깊지 않았으나 여러 편의 시조 작품을 남겼다. 시조 작품인 「수월정청흥가(水月亭淸興歌)」 21수에는 청계망사

  • 강봉문 / 姜鳳文 [종교·철학/유학]

    1735년(영조 11)∼1815년(헌종 14). 아버지는 강득위이다.유홍원에게서 배웠다. 가문은 비록 한미했지만, 효자로 이름이 높았고, 학문에 힘을 쏟아 그를 따르는 문인이 100여인에 이를 정도로 많았다고 한다. 저서로《옥계유고》가 있다.《옥계유고》는 1829년(순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38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