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 문인·학자 1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 문인·학자
  • 김이안 / 金履安 [역사/조선시대사]

    1722년(경종 2)∼1791년(정조 15). 조선 후기의 학자‧문신. 자는 원례(元禮), 호는 삼산재(三山齋), 본관은 안동(安東[新]),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1781년(정조 5) 충주목사를 지냈고, 1784년 지평(持平)‧보덕(輔德)‧찬선(贊善) 등을 거쳐 1

  • 김인겸 / 金仁謙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의 문인. 김상헌(金尙憲)의 현손, 아버지는 통덕랑(通德郎) 김창복(金昌復), 어머니는 인동장씨(仁同張氏) 장서주(張瑞周)의 딸이다. 문벌이 혁혁(赫赫)한 집안에 태어났지만 그의 할아버지인 수능(壽能)은 서출이라 과거에 급제하고도 현감에 그쳤다. 14세 때에

  • 김진형 / 金鎭衡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김종수(金宗壽)이다. 1850년(철종 1)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1853년(철종 4)홍문관교리로 있을 때 이조판서서기순(徐箕淳)의 비행을 탄핵하다가 수찬남종순(南鍾順)에게 몰려 한때 명천(明川)으로 유배되었다. 1856년(철종 7)문과중시

  • 김형규 / 金亨奎 [언어/언어/문자]

    1911∼1996. 국어학자. 1926년에 원산제일보통학교(元山第一普通學校)를, 1931년에 원산중학교를 졸업하였다. 1936년경성제국대학(京城帝國大學) 법문학부(法文學部) 조선어문학과(朝鮮語及文學科)를 졸업하였다. 이 해에 전주사범학교(全州師範學校) 교유(敎諭)에 취

  • 김황원 / 金黃元 [문학/한문학]

    고려시대의 문신·시인. 일찍이 문과에 급제하여 예부시랑(禮部侍郎)·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지냈다. 학문에 힘써 고시(古詩)로 이름을 떨쳐 해동 제일이라는 일컬음을 받았다고 하며, 청직하여 권세에 아부하지 않았다. 김황원은 예종 때에는 중서사인(中書舍人)으로 요나라에

  • 김희상 / 金熙祥 [언어/언어/문자]

    생몰년 미상. 초창기 국어학자. 생몰연대를 알 수 없으나, 초창기 국어문법 개설서를 집필한 국어학자이다. 1909년 경성 유일서관에서 학부검정을 받은 사립학교 국어과 초등교육학도용 문법교과서인 『초등국어어전』을 발행하였다. 이 책은 상·중·하 3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

  • 남광우 / 南廣祐 [언어/언어/문자]

    1920∼1997. 국어학자. 아버지는 남상현(南相顯), 어머니는 이아기[全州李氏 岳只]이다.1938년 3월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하였고, 1950년 5월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으며, 1969년 2월「조선한자음연구」로 중앙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 노진 / 盧禛 [역사/조선시대사]

    1518년(중종 13)∼1578년(선조 11).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자응(子膺), 호는 옥계(玉溪), 본관은 풍천(豊川)이며, 함양 출신이고, 시호는 문효(文孝)이다. 1537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1546년(명종 1)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 승문원의 천거로 박

  • 달전 / 達全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의 승려·시인. 『동문선』에 시 6수가 실려 있다. 7언고시 4수와 7언율시 2수이다. 7언고시는 「연경 호천사의 9층대탑에 올라(登燕京昊天寺九層大塔)」 「이하의 장진주 운을 따라 짓다(次李賀將進酒韻)」 「여러 분들의 국화 시에 차운하다(次韻諸賢賦菊)」 「진으

  • 목태림 / 睦台林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의 문인. 목윤평(睦允平)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순천김씨(順川金氏)이다. 1806년(순조 6) 진사가 되어 상서원 직장을 거쳐 1833년 흥해군수를 지냈다. 현재 남아 있는 문집을 보면 그는 부(賦)에 능하였음을 알 수 있다. 「불법론부(佛法論賦)」 등 7편이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1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