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사건 > 사건 사고와 사회운동 23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사건 > 사건 사고와 사회운동
  • 혜산사건 / 惠山事件 [역사/근대사]

    1937년에서 이듬해까지 걸쳐 발생한 항일조직사건. 1937년 9월부터 이듬해 9월까지 일본 관헌측이 김일성 부대의 보천보(普天堡) 습격작전 후 국내 연계세력을 색출하는 과정에서 조국광복회 회원 188명이 기소된 사건이다. 이 사건의 수사와 취조 및 재판과정에서 김일성

  • 호서은행사건 / 湖西銀行事件 [역사/근대사]

    1930년 2월 신현상과 최석영이 양곡거래조건으로 호서은행 본지점에서 15회에 걸쳐 자금을 꺼내 무정부주의운동자금으로 쓰다 일본 경찰에 체포된 사건. 무정부주의자 신현상은 궁핍한 운동자금을 마련할 방책을 모색하던 중, 동지 최석영이 미곡상을 경영하며 거래처인 호서은행에

  • 혼춘참변 / 琿春慘變 [역사/근대사]

    일본군이 재만한인을 학살한 사건. 1920년 10월 2일 일본에 매수된 중국 마적 장하오는 400여 명의 마적을 인솔하여, 같은 날 상오 5시 야포 3문을 앞세우고 혼춘을 공격하였다. 그러나 마적들은 아무런 저항을 받지 않고 혼춘성문을 통과하여 상오 9시까지 4시간동안

  • 홍기하전투 / 紅旗河戰鬪 [정치·법제/북한]

    1940년 3월 25일 항일유격대가 중국 화룡현 홍기하에서 일본토벌대를 무찔렀다는 전투. 중국공산당 반일무장조직의 일부 소부대가 일본군을 공격한 것으로 당시 일본에서는 마적대의 공격으로 보도할 정도로 미미한 것이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이 공격을 김일성의 지휘 하에 조선

  • 황무지개척권반대운동 / 荒蕪地開拓權反對運動 [역사/근대사]

    일본이 황무지 개척권을 강제로 요구해오자, 이를 저지하기 위해 벌인 1904년에 있었던 일련의 항일운동. 황무지개척권반대운동은 상소운동, 언론운동, 보안회 활동 등으로 전개되었다. 보안회의 이와 같은 반대운동은 1898년 독립협회가 벌인 만민공동회 이후 최대의 민중구국

  • 황주민란 / 黃州民亂 [역사/근대사]

    1893년 겨울과 1894년 초 두번에 걸쳐 황해도 황주목에서 일어난 민란. 향임과 아전들의 작간과 수탈의 가중으로 발생하였는데, 1893년 겨울에 민중은 20조폐단을 들어 시정할 것을 요구하면서 향임과 아전들의 집을 불태우거나 파괴하였다. 당시 황주 지방에는 궁방전이

  • 황토현전투 / 黃土峴戰鬪 [역사/근대사]

    1894년 동학농민군이 전라감영군을 맞아 크게 승리한 전투. 1894년 3월 20일전라도 무장에서 전봉준, 손화중, 김개남 등의 남접계 동학지도자들을 중심으로 4,000여 명의 동학농민군들이 들고 일어섰다. 이들은 태인 주산리에서 태인접주 최경선이 이끄는 300여 명의

  • 황포탄의거 / 黃浦灘義擧 [역사/근대사]

    1923년 의열단에서 전개한 의열사들의 항일의거. 1923년 3월 28일 일본군 육군대장 다나카가 필리핀 마닐라로부터 귀국하는 도중에 상해에 도착하였다. 이 정보를 사전에 입수한 항일운동단체인 의열단에서는 다나카를 사살할 것을 결정하고 치밀한 거사 계획을 세웠다. 거사

  • 훙커우공원의거 / 虹口公園義擧 [역사/근대사]

    1932년 4월 상해 훙커우공원에서 거행한 윤봉길의 투탄의거. 1932년 4월 29일 일본은 상해사변을 일으켜 상해를 점령한 뒤 전승기념 및 천장절(天長節) 기념식을 상해 훙커우공원에서 거행하였다. 이때 비밀항일결사인 한인애국단 단원인 윤봉길이 사열대 위에 폭탄을 투척

  • 흑하사변 / 黑河事變 [역사/근대사]

    1921년 러시아령 자유시에서 대한독립군단이 레닌의 적군과 교전한 사건. 1921년 1월 대한독립군단은 흑룡강을 건너 노령 자유시 이만 일대에 주둔, 레닌 정권의 치따 지방정부와 협정을 맺어 독립군의 실력 양성을 꾀하였다. 그러나 이해에 소련정부 대표 카라한과 일본 공

페이지 / 2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