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사건 > 사건 사고와 사회운동 23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사건 > 사건 사고와 사회운동
  • 보도연맹사건 / 輔導聯盟事件 [역사/현대사]

    6.25전쟁 초기, 국민보도연맹원에 대한 예비검속, 즉결처분을 단행한 사건. 국민보도연맹은 1949년 10월 좌익 전향자들을 중심으로 만든 조직으로서, 좌익세력에 대한 통제와 회유를 목적으로 했다. 1949년말까지 이 조직에 가입된 수는 무려 30만 명에 달했으며, 서

  • 보도지침 / 報道指針 [사회/사회구조]

    제5공화국시기 문화공보부 홍보정책실에서 언론사 기사통제를 위해 작성한 가이드라인. 전두환 정부는 효과적인 언론 통제를 위해 문화공보부 내에 홍보조정실의 상설기구를 설치했다. 계엄 해제 후 정부의 대언론 창구를 문화공보부로 일원화하고, 언론협조체제 구축을 통해 언론조정체

  • 보은집회 / 報恩集會 [역사/근대사]

    1893년 3월과 4월 동학교도가 신앙의 자유를 얻기 위해 ‘척왜양(斥倭洋)’을 내걸고 충청북도 보은에서 개최한 집회. 보은집회는 최제우의 수형일자인 3월 10일, 수만의 동학교도들과 충의지사(忠義之士)는 힘을 합쳐 왜양을 깨뜨려 보국하자는 내용의 <보은관아통고(報恩官

  • 보천보전투 / 普天堡戰鬪 [정치·법제/북한]

    1937년 6월 4일 항일유격대가 함경남도 갑산군 보천면 보천보(현재 북한의 행정구역상 양강도 보천군 보천읍)를 습격하여 승리했다는 전투. 북한의 주장에 따르면, 이 전투는 1937년 3월 서강회의에서 조선인민혁명군(동북항일연군)이 국내진공작전을 펴기로 결정함에 따라

  • 봉오동전투 / 鳳梧洞戰鬪 [역사/근대사]

    1920년 만주 봉오동에서 독립군 부대가 일본 정규군을 대패시킨 전투. 1920년 6월 4일 독립군 홍범도·최진동 부대의 1개 소대가 북간도 화룡현 월신강 삼둔자를 출발하여 두만강을 건너 함경북도 종성군 강양동에 주둔하고 있던 1개 소대 규모의 일본군 헌병 국경초소를

  • 부산경찰서폭탄투척의거 / 釜山警察署爆彈投擲義擧 [역사/근대사]

    1920년 9월 14일 의열단원 박재혁이 부산경찰서에 들어가 서장에게 폭탄을 던진 의거. 박재혁은 1920년 9월 초 상해를 떠나 나가사키로 향하였다. 박재혁은 서장과 면회가 되어 단독으로 탁자 하나를 사이에 두고 대좌하여 고서를 보여주는척하다가 폭탄과 전단을 꺼내어

  • 부산학생항쟁 / 釜山學生抗爭 [예술·체육/체육]

    일제강점기에 일본인의 부정심판으로 일어난 학생시위사건. 1940년 11월 23일 부산에서는 경남학도전력증강국방경기대회가 열려 부산시의 각 학교 학생들이 참가하여 단체경기를 가졌다. 그런데 이 때 심판을 맡은 일본군 대좌 노다이(乃台)가 한국인 학교에서 1, 2등을 할

  • 부안핵폐기장반대운동 / 鳧鴈核廢棄場反對運動 [사회/사회구조]

    2003년 7월부터 부안 핵 폐기장 지정과 취소를 둘러싸고 벌어진 주민운동. 2003년 7월 부안군수의 유치신청으로 인해 부안의 핵 폐기장 건설을 둘러싼 갈등이 시작되었다. 부안의 갈등 상황은 정부의 핵에너지 정책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핵 폐기장 후보지 지정 과정을

  • 부평수리조합농민운동 / 富平水利組合農民運動 [역사/근대사]

    1926-1927년. 경기도 부평수리조합 조합원들이 조합비의 과다 징수 및 이를 근거로 한 소작료 인상을 반대하여 일으킨 운동. 이 운동은 일제의 식민지 농업 정책에 반대한 운동으로, 전개 과정에 있어 운동 주체가 초기의 중농, 소농층에서 곧 소작농 등 빈농으로 전환하

  • 북률동척농장소작쟁의 / 北栗東拓農場小作爭議 [역사/근대사]

    1924년-1925년까지 황해도 재령군 북률동척농장의 소작농민들이 지주인 동양척식주식회사를 상대로 전개한 소작농민항쟁. 동양척식주식회사는 1924년 봄부터 일본인의 이상촌을 건설할 목적으로 한국 소작농민의 소작지를 박탈하여 일본인 이주민에게 주었다. 그리고 모범농장을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2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