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 고려 후기 74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 고려 후기
  • 고려첩장불심조조 / 高麗牒狀不審條條 [역사/고려시대사]

    1271년 일본의 가마쿠라막부에서 삼별초의 진도(珍島) 정부가 보낸 외교문서를 12조목으로 정리한 문서.외교문서. 삼별초 진도 정부가 일본에 보낸 원문서가 남아 있지 않은 상태에서 작성 주체의 의문 대상이 된 부분만을 단편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그래서 전후 문맥을 알

  • 고령 사부동과 기산동 요지 / 高靈沙鳧洞─箕山洞窯址 [예술·체육/공예]

    경상북도 고령군 사부동과 기산동에 위치하여 고려 말부터 조선 전기에 걸쳐 도자와 기와를 굽던 가마터. 사적 제510호. 고려 말에 개요(開窯)하여 조선 전기까지 운영되었던 가마터로, 본래 사적 제71호의 성산사부동도요지(星山沙鳧洞陶窯址)와 사적 제72호의 성산기산동도요

  • 고루가 / 枯髏歌 [문학/고전시가]

    고려 말에 나옹화상(懶翁和尙) 혜근(惠勤)이 지은 불교가요. 7언기조 52구이며 한문으로 되어 있다. 「완주가(翫珠歌)」·「백납가(百衲歌)」와 함께 ‘나옹삼가(懶翁三歌)’로 일컬었으며, 『나옹화상가송(懶翁和尙歌頌)』에 함께 수록되어 전한다. 후대에 불광산(佛光山)대원암

  • 고봉법장가집 / 高峰法藏歌集 [종교·철학/불교]

    고려후기 승려 법장이 나옹삼가에 대한 계송과 잡영을 수록한 불교서.게송집. 나옹삼가(懶翁三歌)인 「완주가(玩珠歌)」·「고골가(枯骨歌)」·「백납가(百衲歌)」에 글귀마다 찬송을 붙인 계송(繼頌)과 잡영(雜詠) 100여수가 수록되었다.법장은 1423년 여름 경주원원사(遠願寺

  • 고봉화상선요 / 高峰和尙禪要 [종교·철학/불교]

    송나라 승려 고봉의 법문을 모아 엮은 불교서. 1권. 이 책은 고봉의 시자 지정(持正)이 기록하고 홍교조(洪喬祖)가 편록하여 『선요(禪要)』라 이름을 붙였으며, 책머리에 홍교조의 서문과 주영원(朱潁遠)의 발문이 있다. 총 29장으로 되어 있으며, 모두가 큰 뜻을 분발하

  • 고산실기 / 孤山實記 [종교·철학/유학]

    고려후기 문신·학자 공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8년에 간행한 시문집.실기. 2권 1책. 석판본. 1918년 그의 후손 희(僖)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병관(李炳觀)·윤영구(尹寗求)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강영직(姜永直)·송영구(宋榮龜)의 발문이 있다.

  • 고성 옥천사 청동북 / 固城玉泉寺靑銅金鼓 [예술·체육/공예]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옥천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청동북. 보물 제495호. 표면 지름 55㎝, 측면 너비 14㎝. 사찰에서 사용되었던 북[또는 반자(盤子)]으로, 앞면은 편평하고뒷면이 비어 있어 농악기인 징과 비슷하다.표면의 의장(意匠)은 굵은 융기선으로 4줄의 동심원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 高陽太古寺圓證國師塔 [예술·체육/건축]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태고사에 있는 고려시대 승려 원증국사 보우의 유골을 봉안한 불탑.부도. 보물. 보물 제749호. 높이 4.0m. 고려 말에 활동하였던 원증국사 보우(普愚, 1301∼1382)의 유골을 모신 묘탑(墓塔)으로, 무너져 있던 것을 최근에 복원하여 다시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高陽太古寺圓證國師塔碑 [예술·체육/서예]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태고사에 있는 고려후기 에 건립된 승려 원증국사의 탑비.보물. 보물 제611호. 전체 높이 3.42m, 비신 높이 2.34m, 너비 1.09m, 두께 22㎝. 고려 말기 승려인 원증국사 보우(普愚)의 탑비이다. 보우는 조계종의 종조(宗祖)로서, 고

  • 고영신 / 高令臣 [종교·철학/유학]

    1045(정종 11)∼1116(예종 11). 고려 중기의 문신. 아들은 고식이다. 문종 때 문과에 급제한 뒤, 1097년(숙종 2) 우찬선대부, 1099년 이부낭중추밀원우승선을 역임하였다. 그 뒤 1101년 어사중승으로 동북면병마사가 되고 이어 형부시랑우간의대부에 올랐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7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