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 고려 전기 54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 고려 전기
  • 고원역 / 高原驛 [문학/한문학]

    고려 명종 때 김극기(金克己)가 지은 한시. 칠언율시로 『동문선』 권13에 수록되어 있다. 시의 제1∼4구에서는 오십의 나이에 기구한 세상사를 원망하면서, 3년 동안 서울을 떠나 방랑한 뒤 집에 돌아오니 아무도 반기는 사람이 없다고 하였다. 제5·6구는대구로서 숲새와

  • 고창용계리청자요지 / 高敞龍溪里靑瓷窯址 [예술·체육/공예]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있는 고려전기 청자를 굽던 가마터.사적. 사적 제345호.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용계리에 위치한 고려시대 청자가마터는 아산 댐 건설로 인해 1983년 3월 30일부터 7월 16일까지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에서 긴급히 발굴한 곳이었으나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 谷城泰安寺廣慈大師塔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태안사에 있는 고려시대 승려 광자대사의 사리를 봉안한 불탑.부도. 보물. 보물 제274호. 높이 약 3m. 본래 탑비(塔碑)와 함께 건립된 것이다. 탑비는 일찍이 파손되어 귀부(龜趺)와 이수(螭首)만이 남아 있으나 이 부도는 온전한 형태로 보존되

  • 곡성가곡리오층석탑 / 谷城柯谷里五層石塔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곡성군 오산면에 있는 고려시대 에 조성된 5층 석조 불탑.석탑. 보물. 보물 제1322호. 높이 약 6.5m. 현재 아래층 받침돌의 아래부분은 시멘트로 보수하여 구조를 알 수 없고, 머리장식인 상륜부(相輪部)도 없어진 상태이다.받침 부분은 일반적인 모습인 2중

  • 공목장기 / 孔目章記 [종교·철학/불교]

    고려전기 승려 균여가 지엄의 『공목장』 4권을 풀이한 주석서.불교서. 『공목장』은 의상의 스승인 지엄이 그의 만년에 지은 저술이다. 갖춘 명칭은 『화엄경내장문등잡공목(華嚴經內章門等雜孔目)』이며, 『화엄공목장(華嚴孔目章)』·『화엄경공목장(華嚴經孔目章)』·『화엄경잡공목(華

  • 공부 / 貢賦 [경제·산업/경제]

    국가에서 각 군현의 산물에 부과한 현물. 학자에 따라 제도적인 조세의 특정항목이 아니라 조세 일반을 의미한다는 설도 있고, 세목으로서의 전세·공물, 때로는 양자를 총칭하는 용어라는 설도 있다.

  • 공성 / 功城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신라의 대병부곡(大幷部曲)이었는데, 고려 초에 공성현(功城縣)이라 하였고 현종 때 상주군에 예속되었다. 1895년 공동면(功東面)으로 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개편에 따라 공성면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곳은 북쪽에 봉수가 있고 남

  • 공신 / 功臣 [역사]

    국가나 왕실을 위해 공을 세운 사람에게 주던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크게 배향공신과 훈봉공신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훈봉공신은 다시 정공신과 원종공신으로 나누어진다.

  • 공신전 / 功臣田 [경제·산업/경제]

    고려·조선시대에 국가 또는 왕실에 특별한 공훈이 있는 사람에게 수여한 토지. 조선시대 공신전의 연원은 고려 태조의 삼한공신과 개국공신에게 지급한 훈전(勳田)이다.

  • 공역서 / 供驛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역마를 관장하던 관서. 처음 설치된 연대는 명확히 알 수 없으나, 늦어도 문종 때는 직제상 확립을 본 것 같다. 주요기능은 역마를 관장, 통제하는 것이었다.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5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