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 고려 전기 54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 고려 전기
  • 교장 / 敎藏 [종교·철학/불교]

    고려전기 승려 의천이 대장경에 대하여 해석한 장소(章疏)를 수집하여 목록을 정리한 불교서. 불교주석서. 이 교장(敎藏)은 그 동안 속장(續藏), 속장경(續藏經), 속대장경(續大藏經) 등으로 알려져 왔으나 이는 잘못 알려진 것이다. 이 교장은 의천의천(義天: 1055년

  • 교장도감 / 敎藏都監 [종교·철학/불교]

    고려시대 속장경의 판각사무를 관장하던 관서. 송나라에 다녀온 의천(義天)의 요청으로 선종이 1086년(선종 3) 흥왕사(興王寺)에 설치하였다.

  • 교종선 / 敎宗選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및 조선 전기에 시행되었던 승과 중 교종의 승려를 선발하던 과거제도. 승과는 고려 광종 때부터 시작되어 일반 과거와 함께 발전하였다. 승과는 크게 교종선과 선종선으로 구분하여 실시되었으며, 교종선은 예비고시인 성복선과 최종 고시인 대선으로 구분하였다. 교종선 시

  • 교형 / 絞刑 [정치·법제/법제·행정]

    죄인의 목에 형구를 사용해 죽이는 형벌 제도. 이는 사형의 방법 중에서 비교적 온건한 형태에 속하는 것이다. 고려시대부터 시행되어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다. 전근대시대에 사형의 가장 보편적인 형태는 참형과 교형이었다. 전자가 신체를 절단하는 극형이었음에 비해 후자는 신

  • 구결체이두 / 口訣體吏讀 [언어/언어/문자]

    이두를 향찰, 이두, 구결, 고유명사 표기 등 모든 차자표기를 대표하는 말로 볼 때, 광의의 이두의 관점에서 구결을 이르는 말. 한자의 음(音)과 훈(訓, 새김)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하는 것을 차자표기라 하는데, 차자표기에는 향찰, 이두, 구결, 고유명사 표기가 있다.

  • 구단 / 具壇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서경에 두었던 관직. 922년(태조 5) 서경에 아관·병부 및 내천부를 두고 그 이듬해 국천부를 두었는데, 거기에 각각 우두머리 관직으로 구단 1인씩을 두고 그 아래에 경(卿)·감(監)·대사(大舍)·사(史) 등을 두었다.

  • 구당사 / 勾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지방에 파견한 외직의 하나. 구당은 본래 ‘임무에 당(當)한다’는 뜻으로, 994년(성종 13)에 처음으로 압록도(鴨綠渡) 구당사를 두었던 것에서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다.

  • 구례 논곡리 삼층석탑 / 求禮論谷里三層石塔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구례군 구례읍에 있는 고려시대 화강암으로 건조된 3층 불탑.석탑. 보물. 높이 3.5m.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석탑은 현재 논곡리 마을 뒤쪽의 산중턱에 있다. 이곳은 이전에 절이 있던 곳으로, 현재 절터에는 돌로 만든 불상과 사자상 등이 함께 남아 있다. 석탑은

  •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 求禮鷰谷寺東僧塔碑 [예술·체육/서예]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연곡사에 있는 고려시대 에 건립된 탑비.보물. 보물 제153호. 높이 120㎝. 동부도 앞 서쪽에 자리하고 있는 이 비는 현재 비신(碑身)은 없어지고 귀부(龜趺)와 이수(螭首)만이 남아 있다.귀부는 네 다리를 사방으로 쭉 뻗어 마치 납작하게 엎드

  • 구례 연곡사 북 승탑 / 求禮鷰谷寺北僧塔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연곡사에 있는 고려전기 화강암으로 조성한 불탑.부도. 국보. 국보 제54호. 연곡사 북쪽 산 중턱에 위치한 고려초기의 승탑이다. 화강암을 이용해 만든 전형적인 팔각당 승탑으로 상륜부의 일부가 파손 복원되었으나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세부표현이 정교하

페이지 / 5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