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천도교 3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천도교
  • 갑진혁신운동 / 甲辰革新運動 [종교·철학/천도교]

    1904년에 동학신도에 의해 전국적으로 추진된 근대화운동. 동학의 민회운동(民會運動)은 사회단체를 만들어 조직적으로 사회를 개혁해 나가는 운동이었다. 손병희는 민회의 이름을 진보회(進步會), 그리고 일진회(一進會)로 고쳤다가, 일진회의 친일성이 드러나 천도교라고 이름을

  • 교조신원운동 / 敎祖伸寃運動 [종교·철학/천도교]

    1864년 동학 교조 최제우(崔濟愚)가 혹세무민(惑世誣民)의 죄명으로 처형당한 뒤, 동학교도들이 그의 죄명을 벗기고 교조의 원을 풀어 줌으로써 종교상의 자유를 얻기 위해 벌인 운동. 동학의 교조신원운동은 19세기 후반의 농민운동과 합류해 서학과 외세를 배격하는 1894

  • 궁을기 / 弓乙旗 [종교·철학/천도교]

    천도교의 교기. 동학의 3대 교주 손병희가 동학을 천도교로 개명한 뒤 천도교대헌과 함께 만들었다. 궁을기라는 명칭은 최제우의 "가슴에는 길길이 사는 약을 간직하고 있는데, 그 모양은 궁을과 같다"라는 글귀에서 따왔다. 궁을기는 세로로 그은 직선에 의해 이등분되어 깃대

  • 대두령제 / 大頭領制 [종교·철학/천도교]

    손병희가 동학의 조직을 강화하기 위하여 1903년부터 일시적으로 실시하였던 교단제도의 명칭. 손병희는 1903년 중춘에 동학의 조직을 강화하기 위하여 대두령제를 설정하였다. 교단의 주요 접주들에게 대두령의 직위와 칭호를 부여함으로써 위계질서를 세웠다. 1905년 12월

  • 대인접물 / 待人接物 [종교·철학/천도교]

    동학(東學)에서 사람과 사물을 대하는 바른 방법 또는 덕목(德目). 동학은 본래 하느님을 모시라(侍天主), 또는 하느님을 공경하라고 가르쳤다. 최시형은 이것을 사물에 까지 확장하여 적용하여 대인접물을 가르쳤다.

  • 무인독립운동 / 戊寅獨立運動 [종교·철학/천도교]

    천도교에서 1936년부터 일제의 패망과 조국의 광복을 기원하는 기도문을 매일 아침, 저녁 식고(食告) 때 외도록 하고 유사시에 대비하여 독립운동자금을 모금하였던 운동. 1936년부터 약 3년간 지속되었던 이 운동은 일제의 탄압이 갈수록 노골화하면서 국내 민족운동이 침체

  • 무체법경 / 無體法經 [종교·철학/천도교]

    1910년에 간행된 천도교의 수행법을 밝힌 책. 손병희(孫秉熙)가 저술하고, 양한묵(梁漢墨)이 대필하였다. 무체법경이란 말은 무체지례(無體之禮)라는 말에서 인용한 것이다. 동학운동과 갑진개혁운동 등 사회운동에 치중하였던 천도교가 사회운동보다 종교적 수행에 치중하기 위해

  • 봉황각 / 鳳凰閣 [종교·철학/천도교]

    1901년 목조 기와집으로 만든 천도교의 수도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호. 의창수도원이라고도 한다. 손병희 자신이 1902년부터 7년 동안 이곳에 살면서 천도교의 발전책과 구국운동을 구상하였다. 1919년 3·1운동의 구상도 이곳에서 하였으며, 특히 3·1운동 때

  • 삼일재현운동 / 三一再顯運動 [종교·철학/천도교]

    1948년 북한의 천도교인들이 남북통일 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벌인 운동. 1947년 8월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자 통일을 염원하던 천도교 원로들은 인구비례로 총선을 실시하여 통일정부를 수립한다는 유엔 결의를 찬성하고 유엔 한국위원단의 내한을 환영하였다. 그러나 북한측

  • 삼전론 / 三戰論 [종교·철학/천도교]

    1903년 동학의 3대 교주 손병희가 일본에 머무르면서 지은 글. 삼전(三戰)이란 도전(道戰), 재전(財戰), 언전(言戰)을 말한다. 손병희는 일본과 러시아라는 강국 사이에 처한 조선이 위기에 처해 있다고 보고, 국민이 합심단결하여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대책을 세워

1 2 3 4
페이지 / 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