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신종교 3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신종교
  • 각세진경 / 覺世眞經 [종교·철학/신종교]

    동학의 3대 교주 손병희가 1899년에 쓴 글. 손병희가 공식적으로 동학의 제3대 교주가 된 것은 1900년인데 이에 앞서 이 글을 세상에 미리 내놓은 것은 교주로서의 권위를 보이기 위한 것이었다. 동학의 중요한 몇 가지 교리를 유교적인 표현과 이론으로써 체계적으로 밝

  • 강일순 / 姜一淳 [종교·철학/신종교]

    강일순(1871-1909)은 증산교의 교조이며 신앙의 대상이다. 자는 사옥(士玉). 호는 증산(甑山)이다. 동학교도였으나 무장봉기에 반대하며 유·불·선의 기본사상을 토대로 인간 세상을 구원할 새로운 종교 창시에 힘쓰며 모악산에서 수도하던 중 깨달음이 있어 증산교를 창

  • 개벽 / 開闢 [종교·철학/신종교]

    선천(先天)과 후천(後天)이 바뀌는 것. 기본적으로 <주역>의 선후천사상에 근거하고 있다. 개벽의 내용은 두 가지로 구분된다. 동학과 원불교 등에서 주역팔쾌를 그대로 수용한 개벽과 김일부의 정역(正易)과 같이 주역에 있는 팔괘의 위치를 변경한 새로운 역학체계에 근거한

  • 갱정유도 / 更定儒道 [종교·철학/신종교]

    강대성(姜大成)이 1945년 창립한 신종교. 강대성은 1951년 본부를 전라북도 김제군 광활면 학당리로 정하고 체제를 정비하였다. 1957년에는 김갑조(金甲祖)가 법통을 이어 2대 교주가 되어 본부를 남원군 남원읍 도통리로 옮겼다. 경전은 <부응경(符應經)>이다.

  • 고두만 / 高斗萬 [종교·철학/신종교]

    1881-1967. 일제강점기 민족종교인·항일운동가. 본관은 제주(濟州)이고, 제주도 안덕면(安德面) 상창리(上倉里) 497번지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한학을 익혔다. 한때 민족종교인 보천교(普天敎)에 입교하였었으며, 1936년에는 무극대도교(無極大道敎)의 신도로서

  • 고부인신정기 / 高夫人神政記 [종교·철학/신종교]

    증산대도회본부에서 이정립이 증산교 초기의 분파 과정을 서술하여 1963년에 간행한 증산교서. 증산교 초기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서적으로, 증산교의 전신인 증산대도회본부(甑山大道會本部)에서 1963년에 발간하였다. 134면. 프린트판. 1909년 증산교 창시자 강일순

  • 궁을가 / 弓乙歌 [종교·철학/신종교]

    동학가사(東學歌辭) 중의 하나. 1932년 경상북도 상주에 있는 동학본부에서 간행한 <용담유사>에 실려있다. 작자는 김주희(金周熙)라는 설과 용호대사(龍虎大師)가 지은 것을 김주의가 장편으로 개작하였다는 설이 있다. 1행이 끝날 때마다 '궁궁을을(弓弓乙乙) 성도(成道)

  • 김형렬 / 金亨烈 [종교·철학/신종교]

    1862년(철종 13)∼1932년. 미륵불교의 창시자. 1894년(고종 31) 10월 강증산을 처음으로 만났다. 1915년 모악산 금강대에서 백일기도 후 신안이 열려 영서를 받았다고 하면서 교파를 형성하였다. 1918년 금산사 안에 미륵불교라는 교파를 세웠다. 192

  • 대순전경 / 大巡典經 [종교·철학/신종교]

    1929년 이상호와 이정립이 증산교 창시자 강일순의 행적과 가르침을 수집·정리하여 편찬한 증산교경전. 1929년 이상호(李祥昊)·정립(正立) 형제가 증산교의 창시자 강일순(姜一淳)의 행적과 가르침을 수집, 정리하여 편찬하였다. 이들 형제는 보천교(普天敎)의 간부로 있

  • 동방교 / 東方敎 [종교·철학/신종교]

    1956년 노광공(虜光公)이 창립한 신종교. 대한예수교가정예배소, 밀알복음전도회, 이래교, 이래할아버지교 등으로도 불린다. 노광공은 일제하에서 순사부장을 지냈다. 1953년 한국복음동지회라는 부흥단체를 조직하고 1956년 동방교를 창립하였다. 1967년 노광공이 죽자

1 2 3
페이지 / 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