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민간신앙 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민간신앙
  • 신동입석 / 新洞立石 [종교·철학/민간신앙]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창평리에 있는 선돌. 1기. 경상북도 기념물 제29호. 선돌은 선사시대 큰돌문화[巨石文化]의 한 형태로 무덤을 표시한 묘표(墓標), 마을 사이의 경계나 구분을 나타낸 경계표, 마을을 지켜주는 조상신이나 수호신, 마을의 액운을 막아주는 풍수비보신(

  • 씻김굿 [종교·철학/민간신앙]

    죽은 이의 영혼을 저승으로 인도하기 위해서 전라도 지역에서 행하는 천도굿. 전라도 지역에서는 망자의 천도를 위한 굿을 씻김굿이라고 한다. 씻김굿하면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진도씻김굿을 생각할 수 있으나, 전라도 지역에서는 해안과 육지 어디에서든 다양한 씻김굿이 전승

  • 영고 / 迎鼓 [종교·철학/민간신앙]

    부여시대의 제천의식. 공동체의 집단적인 농경의례의 하나로서 풍성한 수확제·추수감사제였다. 이러한 성격의 추수감사제는 다른나라에서도 행해졌다. 고구려의 동맹, 동예의 무천, 삼한의 시월제가 그것이다. 이것들과 영고의 차이점은 영고만 음력 12월에 행해진다는 점이다. 이

  • 원구단 / 圓丘壇 [종교·철학/민간신앙]

    조선시대 제단 천자(天子)가 하늘에 제를 드리는 둥근 단으로 된 제천단(祭天壇)이며 사적 제157호로 지정되어 있다.

  • 유월장 / 踰月葬 [종교·철학/민간신앙]

    죽은 달을 넘겨서 치르는 장례식. 중국의 한대와 당대에는 대부는 3월장을, 사는 유월장을 지내도록 규정되어 있었다. 우리나라도 이 영향을 받고 고려 말과 조선 초기부터 성행하였다. 조선 중기 이후에는 선비들의 경우에도 유월장보다 3월장을 선호하는 경향이 생기기도 하였다

  • 윷점 / 윷占 [종교·철학/민간신앙]

    윷으로 새해의 길흉을 점치는 점법의 하나. <동국세시기>의 제석조에 "제야와 설날에 윷을 던져서 괘를 보아 새해의 길흉을 점친다. 점치는 법은 64괘로 나누어 각각 요사가 있다. 윷점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사람이 편을 짜서 집단으로 하는 것과 또 하나는 개인이

  • 정감록 / 鄭鑑錄 [종교·철학/민간신앙]

    조선 중기 이후 성행한 예언서. 70여 종이 있다. 대체로 정감과 이심의 문답을 엮어놓은 감결, 산수비기, 도선비결, 무학비결, 남사고비결, 정북창비결 그리고 토정 유형원, 원효, 이서계, 율곡, 서산대사 등 수십 명이 저술한 비결들이 실려 있다.

  • 정화수 / 井華水 [종교·철학/민간신앙]

    신에게 바치는 깨끗한 물. 이른 새벽에 정성들여 길은 물이다. 정화수는 한 가정의 주부가 남보다 먼저 매일 첫 새벽에 샘으로 가서 동이에 물을 길어다가 먼저 떠놓는다. 정화수 그릇으로 중발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사발을 쓰기도 하고 옹투가리를 사용하기도 한다. 정화수에

  • 참성단 / 塹城壇 [종교·철학/민간신앙]

    강화도 마니산 꼭대기에 있는 제단. 전국체전의 성화를 채화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사적 제136호이다. <문헌비고>에는 1639년과 1700년에 각각 참성단을 개수축하여 비를 세웠다. 참성단의 최초의 모습과 정확한 축조연대는 알 수 없다. 참성단에서는 현재 개천절과

  • 초감제 / 初監祭 [종교·철학/민간신앙]

    제주 칠머리 당굿의 제의 절차 가운데 하나. 모든 신을 청하여 좌정시키고 기원하는 제차이다. 초감제는 배포도업침, 날과 국 섬김, 연유닦음, 군문열림, 분부사룀, 새도림, 정대우, 열명올림의 8단계로 시행된다.

1 2 3 4
페이지 / 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