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정치·법제 > 정치 199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정치·법제 > 정치
  • 민주공화당 / 民主共和黨 [정치·법제/정치]

    1963년 2월 26일 창당. 제3, 4공화국의 집권여당. 5.16 주체세력을 중심으로 <혁명이념의 계승과 민족적 민주주의 구현>을 표방하였다. 8월 31일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 입당하여 총재직을 맡았으며, 이후 권위주의적 지도체제하에 계파갈등을 억누르고, 조

  • 민주국민당 / 民主國民黨 [정치·법제/정치]

    1949년 2월 10일 창당된 정당. 한국민주당이 친일정당이라는 이미지의 쇄신과 이승만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신익희의 대한국민당과 지청천의 대동청년단을 규합, 새로이 출범한 것이다. 한국민주당의 구성원, 정강, 정책 등을 그대로 계승한 민국당은 해방 이후 최초의 보수야

  • 민주기지노선 / 民主基地路線 [정치·법제/정치]

    해방직후 북한 공산주의자들이 취한 혁명 노선. <한반도를 미소 양군이 분할점령하고 있는 상황하에서 제국주의 국가인 미국이 점령한 남한에 혁명근거지를 두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북한을 정치, 경제, 군사적으로 강화시켜 조선혁명의 근거지로 만든다>는 노선으로서 건당, 건국,

  • 민주주의민족전선 / 民主主義民族戰線 [정치·법제/정치]

    1946년 2월 15일 조직된 좌익통일전선. 1945년 12월 모스크바 3상회의에서 한반도 신탁통치안이 결정되자, 각 정당, 사회단체들은 신탁통치문제를 둘러싸고 찬탁과 반탁으로 대립하게 되었다. 조선공산당이 이승만과 미군정의 단독정부수립 노선에 대응, <신전술>을 채택

  • 민철훈 / 閔哲勳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문신(1856∼?). 특명전권공사 역임. 민씨의 친족이자 친일 고위 관료였던 민종묵의 아들이며, 1884년(고종 21) 인정전에서 열린 춘도기의 강에 의하여 전시에 직부할 수 있는 자격을 얻어 이듬해의 정시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 박규수 / 朴珪壽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문신·개화사상가(1807∼1877). 신미양요 주도. 북학파 거두 박지원의 손자다. 연행사 부사를 역임하였다. 1848년 증광시에 병과로 급제하여 관직에 나갔다. 1864년 고종이 즉위하자 특별히 도승지에 임명되었다. 1866년 2월 평안도관찰사가 되었다

  • 박동선사건 / 朴東宣事件 [정치·법제/정치]

    <위싱턴 포스트>지가 재미실업가 박동선의 의회로비활동을 폭로한 데서 발단되어 한.미간의 외교마찰로까지 번진 사건. 1976년 10월 24일 <워싱턴 포스트>가 박동선이 한국정부의 기관요원으로 1970년대에 연간 50만 내지 1백만 달러 상당의 뇌물로 90여 명의 의원

  • 박승환 / 朴昇煥 [정치·법제/정치]

    1869년(고종 6)∼1907년(융희 1). 순국지사. 서울 출신. 1895년 10월 일제의 명성황후시해사건의 만행이 자행되자, 통분하여 일본인에 보복하고자 하였으나 기회를 얻지 못하였다. 1907년 7월 일제가 헤이그특사사건을 구실로 고종을 강제양위시킬 때, 궁중에서

  • 박영효 / 朴泳孝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정치가(1861∼1939). 갑신정변 주도 개화파. 특명전권대신 겸 수신사 역임. 정변이 실패로 돌아가자 일본으로 망명했고, 1894년 일본 정부의 주선으로 귀국하여 김홍집 내각에 내무대신으로 입각했다. 1895년 제2차 갑오개혁을 추진하려 했으나, 역모 혐

  • 박정양 / 朴定陽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대신(1841∼1904). 외교가. 주미 조선공사. 독립협회 창설 관여. 1866년(고종 3)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요직을 두루 거쳤다. 주미전권공사에 임명되어 미국 대통령에게 신임장을 제정하였고 만민공동회에 참석하였다.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2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