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비천당(丕闡堂)

서지사항
항목명비천당(丕闡堂)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성균관(成均館)
관련어벽입재(闢入齋), 일량재(一兩齋)
분야교육 출판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시대에 문과 시험 등의 장소로 사용된 성균관의 부속건물.

[개설]
비천당은 성균관의 별당인데, 그 명칭은 주자가 말한 ‘비천대유(丕闡大猷)’ 즉 ‘큰 도를 밝힌다’는 구절에서 비롯되었다. 비천당은 과거를 시행할 때 그 뜰을 시험 장소로 사용하였다. 시험 장소로 둘을 설치할 때는 예조(禮曹)를 일소(一所), 비천당을 이소(二所)로 삼았다. 조선후기에 이르러 과거 응시자가 폭증하여 비천당만으로 다 수용하지 못하면 담을 허물어서 명륜당(明倫堂)의 안뜰과 통하도록 하였다[『영조실록』 22년 8월 22일].

[설립 경위 및 목적]
1664년(현종 5) 9월에 도성 안에 있던 인수원(仁壽院)·자수원(慈壽院) 등 두 니원(尼院)을 철거하고, 그 재목으로 비천당과 일량재(一兩齋)·벽입재(闢入齋)를 세웠다.

[조직 및 역할]
비천당 중앙에는 정청(正廳)이 있고, 좌우에 협실(夾室)이 있는데 모두 25칸이다. 또 양옆의 재실(齋室)을 일량재·벽입재라 명명하였는데 일량재는 주희(朱熹)가 ‘불사를 폐하고 유궁(儒宮)을 세우는 일이 일거양득이다’라고 말한 데서 따왔다. 벽입재는 정이(程頤)가 ‘이단을 물리쳐야만 성현의 길로 들어갈 수 있다’라고 한 말에서 따왔다. 두 재의 이름은 모두 송시열이 명명하였다.

[변천]
1778년(정조 2) 황폐된 학사를 수리할 때까지 사학합제(四學合製)를 비천당에서 치렀다. 벽입재가 화재로 소실되어 1784년(정조 8) 9월에 다시 중건하였으나, 1869년(고종 6) 왕이 비천당을 고쳐 세우라고 한 것을 보면 비천당의 건물 상태도 매우 좋지 않았던 것 같다. 고쳐 세운 비천당은 한말에 일량재와 함께 파괴되었다가 한국전쟁 때 대부분이 소실되었다. 1946년 9월 이후 한때 잔존한 비천당을 성균관대학교에서 대학 본부로 사용하고, 좌우 협실은 대학도서관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1988년 8월 건평 184.4㎡의 규모로 복원되었다.

[참고문헌]
■ 『동국여지비고(東國輿地備攷)』
■ 『우암집(尤庵集)』
■ 『태학지(太學志)』
■ 『성균관약사(成均館略史)』

■ [집필자] 박연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