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책왕세자의(冊王世子儀)

서지사항
항목명책왕세자의(冊王世子儀)
용어구분전문주석
분야왕실
유형의식 행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왕세자를 책봉(冊封)하는 의례.

[개설]
왕세자를 책봉하는 의식 절차이다. 의식은 각종 자리와 안(案)을 설치하는 준비 과정이 있었다. 정전(正殿)에서 왕세자 책봉 의례를 거행한 다음 왕세자가 왕비를 뵙고 인사를 드리고, 종묘에 배알(拜謁)하고 문무백관의 축하를 받는 의식도 거행하였다.

[연원 및 변천]
세종대에 의주(儀註)가 정비되어 행사 장소와 의식을 담당하는 관원 몇몇의 명칭만 바뀌었을 뿐 조선시대 내내 거의 그대로 거행되었다.

[절차 및 내용]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서 책왕세자의를 살펴보면, 우선 길일(吉日)을 택일(擇日)하여 사직(社稷)종묘(宗廟)에 고하는 의식을 거행하였다. 2일 전부터 예조(禮曹)의 지휘 아래 의례 거행을 준비하였다. 책왕세자의를 거행하는 날에는 음악이 연주되는 가운데 왕이 산선(繖扇)과 시위의 호위를 받으며 정전으로 나와 어좌에 오르고, 종친과 문무백관이 몸을 굽혀 4번 절하고 일어나 바로 섰다. 왕세자가 동문(東門)으로 들어와 절하는 자리에서 몸을 굽혀 4번 절하고 일어나 바로 섰다. 전책관(傳冊官)이 어좌 앞에 꿇어앉아 전교(傳敎)를 아뢰고 교명안(敎命案)·책안(冊案)·인안(印案)을 받든 집사자들과 나아가 왕세자의 앞에 선다. 전책관의 교서가 있다는 말에 따라 왕세자가 꿇어앉으면, 전책관이 전교의 내용을 선포하고 교명함(敎命函)·책함(冊函)·인수(印綬)를 왕세자에게 전달한다. 왕세자가 이를 받고 그 일행과 함께 절을 하고 물러나면 종친과 문무백관이 절을 하고, 좌통례(左通禮)가 어좌 앞에 꿇어앉아 예가 끝났다고 아뢰었다. 왕이 어좌에서 내려와 돌아갔다.

정전에서의 의식이 끝나면 왕비를 뵙고 절하는 조왕비(朝王妃) 의식을 거행하였다. 왕세자는 왕비좌(王妃座)가 설치되어 있는 전각의 뜰로 나아갔다. 왕비가 적의(翟衣)를 입고, 머리에 장식[首飾]을 갖추고 왕비좌에 오르면 왕세자가 절하는 자리에 나아가 몸을 굽혀 4번 절하고 일어났다. 왕비가 내전으로 돌아가면 왕세자도 자신의 거처로 돌아왔다.

다음 날은 축하의식으로 종친과 문무백관이 왕에게 왕세자가 왕의 업적을 계승하는 것에 대한 기쁨의 축하 전문(箋文)을 올리고 왕비가 계신 전각, 즉 중궁(中宮)의 대문 밖에서 축하의식을 거행하였다. 이어 왕세자가 있는 전각으로 나아가 대기하다가 왕세자가 공복(公服)을 갖추어 입고 정한 자리로 나아가면, 종친과 문무 2품 이상의 관원은 당(堂)에 오르고, 3품 이하의 관원은 뜰에서 축하 의례를 거행하였다. 이때 치사(致詞)는 올리지 않았다.

그 후 길일을 택일하여 왕세자가 익선관(翼善冠)곤룡포(袞龍袍) 차림으로 연을 타고 궁궐 밖으로 거둥한다. 종묘에 도착하면 왕세자는 면복으로 갈아 있고 정한 자리에 나아가 몸을 굽혀 4번 절하고 일어나 바로 선 다음 의식 절차에 따라 환궁하였다.

[참고문헌]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
■ 『춘관통고(春官通考)』

■ [집필자] 김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