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은교의(銀交倚)

서지사항
항목명은교의(銀交倚)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가례(嘉禮), 길례(吉禮), 흉례(凶禮)
동의어은교의(銀交椅)
관련어노부(鹵簿), 발인반차(發引班次), 의장(儀仗)
분야왕실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시대 노부(鹵簿) 행렬에 편성된, 은색의 의장용 접이식 의자.

[개설]
노부는 왕이 궁궐 밖으로 행차할 때 동원되던 의장(儀仗) 행렬을 말한다. 궁궐 안에서 시행될 때는 ‘의장’이라 하였다. 왕의 노부는 그 규모에 따라 대가(大駕)·법가(法駕)·소가(小駕)로 구분되었으며, 왕 이외에 왕비·왕세자·왕세손 등의 의장도 있었다. 노부 행렬에는 통치자의 권위를 상징하는 각종 깃발·부채·덮개·병기·악기 등 다양하고 화려한 의장 용품이 사용되었다. 은교의는 이러한 의장 용품 중 하나로, 은색의 접이식 의자를 가리킨다.

[연원 및 변천]
대가노부에 2개, 법가노부에 1개가 편성되었다. 왕이 타는 가마인 어연(御輦) 앞에 금장도(金粧刀)·은장도(銀粧刀)·금횡과(金橫瓜)·은횡과(銀橫瓜)와 같이 좌우로 나뉘어 진열된 의장 사이에 진열되었다. 은교의 뒤에는 교의(交椅) 아래에 두고 쓰는 발판인 각답(脚踏)이 배치되었다. 1명의 군사가 1개의 은교의를 받들고 나아갔는데, 이때 군사는 자의(紫衣)에 자건(紫巾)을 착용하였다. 중궁(中宮)의 노부에는 1개가 편성되었으며, 은교의를 받든 군사는 청의(靑衣)에 자건을 착용하였다. 국장(國葬) 의례를 거행할 때에 발인반차(發引班次) 행렬에는 2개가 편성되었다.

[형태]
교의는 의자의 일종으로, 유랍(鍮鑞)으로 도금하여 은색 빛깔을 낸다.


[참고문헌]
■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 김지영, 「조선후기 국왕 행차에 대한 연구-의궤반차도와 거동기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