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휘(麾)

서지사항
항목명휘(麾)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아부악기(雅部樂器)
분야문화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악대(樂隊)의 앞에서 세우거나 눕혀 음악의 시작과 끝을 알려주는 의물(儀物).

[개설]
각종 국가 전례(典禮)를 거행할 때 악대의 앞에서 세우거나 눕혀 음악의 시작과 끝을 알려주는 의장이다. 음악 연주를 시작할 때 휘(麾)를 올리는 것을 거휘(擧麾)라 하고 연주를 마칠 때 휘를 눕히는 것을 언휘(偃麾)라 한다. 장악원에 소속된 악관(樂官)인 협률랑(恊律郞)이 담당했다. 내연(內宴)에서는 여집사(女執事)가 휘를 담당했다.

[연원 및 변천]
국가 전례에서 휘를 쓰는 제도는 중국 주대(周代)의 전통이 이어져온 것이다. “건거(巾車)가 목로(木路)를 맡아 대휘(大麾)를 세우고 사냥하고 번국(蕃國)을 봉(封)한다.”는 내용의 『주례(周禮)』에 전거를 둔 『악학궤범(樂學軌範)』의 기사가 있고, “왕이 왼손에 황월(黃鉞)이라는 도끼를 들고, 오른손에 백모(白旄)라는 기를 잡고 지휘한다.”는 『서경(書經)』의 내용을 통해 휘는 주나라 사람이 만든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음악이 시작되려 할 때에는 휘를 들어 시작을 알리고, 그치려 할 때는 휘를 눕혀 음악이 끝났음을 알림으로써 악공(樂工)의 연주를 지휘하였다. 당상(堂上)에는 서계(西階)에 세우고, 당하(堂下)에는 악대의 앞 조금 서쪽에 세워 놓는다. 중국에서는 훈간(暈干)이라고도 했다. 휘는 소리 내는 악기에 속하는 것은 아니지만 음악 연주와 관련된 것이므로 분류상 아부악기(雅部樂器)에 포함되어 있다.

[형태]
휘는 전체 길이가 8자 7치 1푼으로서 중국의 제도와 다르다. 기의 대는 용머리 모양의 장식으로 꾸미고, 분홍색 비단으로 만든 기의 바탕에는 하늘에 오르려 하는 용의 모양을 그려 넣었다.



[참고문헌]
■ 『주례(周禮)』
■ 『서경(書經)』
■ 『악서(樂書)』
■ 『악학궤범(樂學軌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