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공조(工造)

서지사항
항목명공조(工造)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잡직(雜織), 팔품(八品)
관련어공장(工匠), 공조(工曹), 교서관(校書館), 군기시(軍器寺), 상의원(尙衣院), 선공감(繕工監), 장인(匠人), 체아직(遞兒職)
분야정치
유형직역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각 관청에 소속된 장인(匠人)들에게 주던 종8품 잡직(雜織).

[내용]
조선시대에는 지장(紙匠)·옥장(玉匠)·은장(銀匠)·궁인(弓人)·시인(矢人)·주장(鑄匠)·석장(石匠)·목장(木匠)·야장(冶匠) 등의 장인들을 전문 기술에 따라 해당 관청에 나누어 배정하였다. 전문 기술자인 공조는 공조에 1명, 교서관·사섬시·조지서에 합쳐서 4명, 상의원에 1명, 군기시에 2명, 선공감에 4명이 있었다. 다만 군기시에 소속된 공조의 경우 조선후기에 1명이 줄어들었다.

다른 잡직과 마찬가지로 체아직(遞兒職)으로 1년에 네 번씩 윤번제로 근무하였고, 두 개의 조로 나뉘어 교대로 일하였다. 또한 900일의 근무 일수를 채우면 한 등급씩 진급하였으나, 정6품까지만 승진할 수 있었고 그 이상의 품계에는 오를 수 없었다.

[용례]
傳曰 凡工造之物 前者立法定限督之 限內不入輒罪之 故無少稽緩 今可申明其法[『연산군일기』 10년 윤4월 20일]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대전회통(大典會通)』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유승원, 「조선초기 경공장의 관직-잡직의 수직(受職)을 중심으로」, 『조선초기신분제연구』, 을유문화사, 1987.

■ [집필자] 이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