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멱(羃)

서지사항
항목명멱(羃)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멱준소포건(冪尊疏布巾), 뢰(罍), 준(尊), 준소(尊所), 혼전(魂殿)
분야왕실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제례에 사용하는 술병인 준(尊)과 뢰(罍)를 덮는 덮개.

[개설]
준과 뢰는 제사 의례에서 각종 술을 담는 데 사용하는 술병이다. 멱은 길례, 가례, 흉례의 여러 의식에서 술 항아리를 놓는 장소인 준소(尊所)나 혼전(魂殿) 등에 진설된 준과 뢰를 덮는 데 사용하였다.

1451년(문종 1)에 편찬된 『세종실록』 「오례」에는 멱을 ‘멱준소포건(冪尊疏布巾)’이라 하여 성근 베로 만든 네모진 덮개를 도설로 제시하였는데, 멱과 준은 명칭만 다를 뿐 외관이나 용례는 동일하다. 『춘관통고(春官通考)』에는 십자형의 구름 문양을 넣은 멱의 그림을 수록하고 있는데, 구름 모양 장식이 들어가서 아무 문양이 없던 것과는 외관이 조금 달라지긴 했지만 쓰임새는 같았다.

[연원 및 변천]
중국 고대부터 있어온 것이나 정확한 연원은 알 수 없다. 중국 고대의 삼례(三禮) 가운데 하나인 『주례(周禮)』에도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멱의 연원은 『주례』의 편찬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볼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세종대의 『세종실록』 「오례」에 처음으로 도설(圖說)이 등장하였다. 이후 성종대의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정조대의 『춘관통고』, 대한제국 시기의 『대한예전(大韓禮典)』 등 역대 전례서(典禮書) 및 의궤(儀軌)에 다양한 도설이 수록되어 있다.

[형태]
대나무로 멱의 틀을 만들고 겉과 속을 베나 거친 갈포(葛布)로 싸는데, 겉은 검은색으로, 속은 붉은색으로 싼다. 중국 남송대 주희(朱熹)가 지은 『소희주현석전의도(紹煕州縣釋奠儀圖)』를 살펴보면, 옛날에는 멱에 씌울 베[布]의 폭을 2자 2치(약 67㎝)로 하고 둥그런 모양으로 하였으나, 지금은 베의 폭을 1자(약 30㎝)로 하고 네모나게 만든다.’라고 되어 있다. 또 『주례』에 의하면, “팔준(八尊)은 천지(天地)에 헌작(獻酌)하기 위해 거친 베로 된 건[疏布巾]을 사용하는데 이는 질박함을 숭상하기 때문이며, 육이(六彝)는 종묘에 관향(祼享)하기 위해 고운 베로 된 건[布巾]을 사용한다. 한편 멱에 십자형의 구름 문양을 넣은 것과, 국가 제사에서 희생으로 사용하는 송아지인 특생(特牲)을 담은 제기를 덮는 멱은 모두 거친 갈포를 쓴다.”라고 하였다. 준(尊)과 이(彝) 역시 제기로 준은 신위에 잔을 올릴 때 쓰는 술잔의 일종이고, 이는 강신(降神)을 할 때 울창주를 담는 용도로 쓰는 용기였다. 이것들에 모두 멱을 사용한 것을 볼 수 있다. 『춘관통고』에는 십자형의 구름 문양을 넣은 멱이 소개되어 있다.



[참고문헌]
■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 『종묘의궤(宗廟儀軌)』
■ 『춘관통고(春官通考)』
■ 『소희주현석전의도(紹熙州縣釋奠儀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