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센터 [클릭]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k-mooc [클릭]

자료 보기

한국의 누정과 누정문화_1주차_1차시

서지사항
· 대표표제어한국의 누정과 누정문화
· 연구소명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 강좌제목한국의 누정과 누정문화
· 강좌소개 한국의 누정은 관련 기록이 삼국시대부터 보이며, 조선시대 누정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이는 사대부들의 은거 문화와 관련이 깊다. 은거한 사대부들은 학문을 도야하고 제자들을 양성하는 한편, 누정을 지어 산수를 감상하고 풍류를 즐겼다. 누정은 대부분 산이나 강, 호수 등을 끼고 있으며 주변을 자연경관을 조망하기 좋은 곳에 세워졌다. 사대부문인들은 누정에서 시회(詩會)를 여는 등 누정문화가 형성되었으며, 누정제영(樓亭題詠)과 누정기(樓亭記)와 같은 문학 작품도 많이 창작되었다. 이에 한국의 주요 누정의 역사와 문화를 강원도·전라도·경상도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특히 누정과 관련된 한국의 고전문학 작가와 작품을 비중 있게 다루어 한국문학의 다양한 면모를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고자 한다. • 한국의 주요 누정과 그것의 역사와 문화를 설명할 수 있다. • 한국의 주요 누정과 관련된 문학 작품을 이해하고 파악할 수 있다.
· 강의자안세현 교수, 안득용 교수, 백진우 교수
· 주차한국의 누정과 누정문화_1주차
· 주차별강좌한국의 누정과 누정문화_1주차_1차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연구책임자:장경준)
[◀ 이전 강좌 ][ 처음 강좌 ]     [ 다음 강좌 ▶]   

강의동영상


학습자료 다운로드

가이드북_5과정_1주차_한국의 누정과 누정문화(240104).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