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센터 [클릭]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k-mooc [클릭]

자료 보기

설총과 이두_차자표기의 탄생_1주차_1차시

서지사항
· 대표표제어한국의 문자 발명가와 표기의 역사
· 연구소명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 강좌제목한국의 문자 발명가와 표기의 역사
· 강좌소개한국어를 기록하는 문자가 한글이라는 사실은누구나알고있는상식이다. 그러나 한국어가 문자로 기록되어 온 1,500여 년 동안 한글이 사용된 기간은 약 1/3에불과한사실,한글이전에 한국어를 표기하는 이두, 구결 문자가 사용된 사실, 한글 창제 이후 한글 표기가 변화하는 한편이두,구결문자도계속 사용된 사실 등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최근 들어 학계에서는 이두, 구결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한글 창제 과정과 표기 변화에 대한연구도심화되어최신연구 성과를 해외 연구자들과 공유할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해외에서의 한국어, 한글의 역사에대한관심도 매우높다.따라서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한 문자의 발명과 한국어 표기의 역사적 변화를 다루는 본 강좌는 한국학연구성과의해외 보급과해외 현지의 한국학 강좌 수요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 강의자장경준
· 주차설총과 이두_차자표기의 탄생_1주차
· 주차별강좌설총과 이두_차자표기의 탄생_1주차_1차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연구책임자:장경준)
[◀ 이전 강좌 ][ 처음 강좌 ]     [ 다음 강좌 ▶]   

강의동영상


학습자료 다운로드

1주차 - 4-10. 한국의 문자 발명가와 표기의 역사_최종-4.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