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개황(開皇)

서지사항
항목명개황(開皇)
용어구분연호사전
분야연호
유형연호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중국(中國)의 수(隋)나라 문제(文帝) 대에 사용한 연호(581년~600년).

[개설]
중국 수나라의 초대 황제였던 문제가 사용한 연호 가운데 하나로(581년~600년), 581년 개국한 수나라의 첫 번째 연호이기도 하다.

601년에 연호가 변경될 때까지 20년 간 ‘개황(開皇)’을 연호로 사용하였는데, 개황9년인 589년에 문제는 중국을 통일하였다. 이어 개황18년인 598년에는 <수나라와 고구려(高句麗) 사이에 전쟁>이 발발하였다. 이 때 수나라에서는 30만 대군을 보내어 고구려를 정벌하고자 하였으나, 이것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수나라는 큰 타격을 입었다.

한편 조선(朝鮮)에서는 정치 · 사회 · 문화적 변화 및 자연 재해 등의 현상이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중국의 예를 참조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개황 연호도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등장한다.

[참고문헌]
■ 『세종실록(世宗實錄)』
■ 『단종실록(端宗實錄)』
■ 『명종실록(明宗實錄)』
■ 『현종실록(顯宗實錄)』
■ 『숙종실록(肅宗實錄)』
■ 『수서(隋書)』
■ 이현종 편, 『동양연표(東洋年表)』, 탐구당, 1986.

■ [집필자] 김가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