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총론]
[1596년(선조 29)∼1663년(현종 4) = 68세]. 조선 중기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 예조 판서(判書) 등을 지냈다. 자는 자진(自珍)이고, 호는 야당(野塘)이며, 시호는 정효(貞孝)이다.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아버지는 중추부(中樞府) 첨지사(僉知使) 김수렴(金守廉)이며, 어머니 창녕 성씨(昌寧成氏)는 생원(生員) 성순(成恂)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좌의정(左議政)김명원(金命元)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사헌부(司憲府)대사헌(大司憲) 김만균(金萬鈞)이다. 송준길(宋浚吉), 조석윤(趙錫胤)과 절친한 사이였다.
[광해군~인조 시대 활동]
1618년(광해군 10) 증광(增廣) 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는데, 그때 나이가 23세였다.
처음에 승문원(承文院) 부정자(副正字)에 보임되고 이어 승정원(承政院)가주서(假注書)에 임명되어,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설서(說書)를 겸임하였다.[『광해군일기』 11년 3월 26일] 승정원 가주서로서 입시할 때마다 광해군이 그의 빼어난 자태를 눈여겨보았는데, 그의 부인 여흥 민씨(驪興閔氏)가 죽었다는 말을 듣고 누이동생을 부인으로 삼도록 강요하였다. 그러나 김남중은 아내의 3년상이 끝나지 않았다며 끝내 응하지 않았다. 이때 인사(人事)를 담당하는 자가 인망(人望)을 모으려고 김남중에게 세자시강원 설서를 겸임하게 하였다.
저서로 『역대인감(歷代人鑑)』이 있는데, 역대 유명한 인물의 전기이다. 문집으로는 그가 죽은 뒤에 후손들이 유고를 모아 편찬한 『야당유고(野塘遺稿)』가 있다.
[성품과 일화]
김남중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성품은 인자하고 온화하며, 신장은 보통이었으나 아름다운 광채가 겉으로 환히 드러났다. 일찍이 소년기에 부마(駙馬)의 선발에 참여하였을 때 선조(宣祖)가 그를 불러보고, “앞날에 반드시 귀하게 될 상이다”라고 칭찬하였다. 최종 선발에까지 올라갔으나, 부마가 되지는 못하였다. 부마는 명문가의 자제 중에서 선발하였으나, 부마가 되면 과거를 보아 출세하지 못하였으므로, 재능이 있는 사람들은 오히려 부마가 되는 것을 싫어하였다.
김남중은 간략하고 검소한 것을 좋아하였으므로, 집안사람이 감히 화려한 옷을 입고 그를 뵙지 못하였다. 본래 남과 교유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아, 공청(公廳)에서 집으로 돌아오면 문정(門庭)을 쓸고 집안에 들어앉으니, 잡된 손님이 찾아오지 않았다. 그러나 친한 친구가 찾아오면 곧 술자리를 마련하여 즐거워하였다. 항상 말하기를 “조정에서 일을 논의할 때에는 마땅히 경상(經常)을 지켜야 하고, 사대부의 지론(持論)에서 새롭고 기이한 주장을 경계해야 한다”고 하였다. 송준길, 조석윤과 같은 절친한 친구들과 조정에서 정사를 논의할 때에 간혹 주장이 서로 맞지 않을 때도 있었으나, 김남중은 언제나 원칙을 고수하였으므로 모두 그의 길게 보는 안목에 감복하였다.[『문곡집(文谷集)』 권20 「예조판서김공묘표(禮曹判書金公墓表)」]
본래 그는 경사(經史)를 즐겨 읽었는데, 늙어서도 일과처럼 『논어(論語)』를 읽었다. 또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을 좋아하여 그 인물 전기를 참고해서 손수 10여 책을 저술하였는데, 이름을 『역대인감(歷代人鑑)』이라 하였다. 김남중은 항상 말하기를 “사마광(司馬光)은 사람을 대하여 말하는 것이 옳지 않은 것이 없었으니, 선비는 마땅히 그를 본받아야 한다” 하였다. 그러므로 집에서 어버이를 섬기고 조정에 나아가 사람들을 만날 때 송(宋)나라 역사가 사마광처럼 모든 행동 규범이 하나같이 역사의 진실에서 터득한 것이었다.[비문]
[묘소와 후손]
시호는 정효이다. 묘소는 충청도 전의(全義) 소곡리(素谷里)의 언덕에 있는데, 김수항(金壽恒)이 지은 묘갈명(墓碣銘)이 남아있다. 처음에 경기도 양주(楊州)의 선영에 있었으나, 장사 지낸 뒤 5년 만에 이장하였다.[『문곡집』 권20 「예조판서김공묘표」]
첫째 부인 여흥 민씨는 민유경(閔有慶)의 딸이고, 둘째 부인 전주 이씨(全州李氏)는 이세헌(李世憲)의 딸인데 성종(成宗)의 5세손이다. 여흥 민씨가 2녀를 낳았는데, 목사(牧使) 나성두(羅星斗)와 목사 서정리(徐正履)에게 각각 출가하였다. 전주 이씨는 3남 1녀를 낳았는데, 장남 김홍진(金弘振)은 호조 정랑(正郞)을 지냈고, 차남 김일진(金一振)은 생원이었으며, 3남 김필진(金必振)은 원성현감(原城縣監)을 지냈다. 3녀는 부사(府使)정재악(鄭載岳)에게 출가하였다. 측실에서 4남 2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김득진(金得振)·김유진(金有振)·김이진(金以振)·김말진(金末振)이고, 딸은 박군망(朴君望)·박세교(朴世校)에게 각각 출가하였다. 손자 김주신(金柱臣)은 돈녕부(敦寧府) 영사(領事)를 지냈고, 경은부원군(慶恩府院君)에 봉해졌다.[『문곡집』 권20 「예조판서김공묘표」]
맏사위 목사 나성두는 영의정 김수항의 장인인데, 안동 김씨(安東金氏) 세도 정치의 시작인 김창집(金昌集)·김창협(金昌協)·김창흡(金昌翕) 3형제의 외할머니가 바로 김남중의 맏딸이었다. 그러므로 서인의 영수 김수항이 장모 경주 김씨(慶州金氏)를 위하여 김남중의 묘갈문을 지었던 것이다. 또 허목(許穆)의 어머니 나주 임씨(羅州林氏)는 임제(林悌)의 딸인데, 임제는 김남중의 증조할아버지 김만균의 사위였으므로 남인의 영수 허목은 김남중은 친척 사이였다.[『미수기언(眉叟記言)』 별집 권13] 서인과 남인이 <예송논쟁(禮訟論爭)>으로 대립할 때, 김명원-김남중의 경주 김씨는 서인과 남인 모두와 연결되어 있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