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총론]
[1858년(철종 9)~1872년(고종 9) = 15세]. 조선의 제 25대 임금인 철종(哲宗)의 딸로 옹주.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어머니는 1866년(고종 3) 신정왕후(神貞王后)에 의해 숙의(淑儀)에 봉해진 범숙의(范淑儀)이다. 부마는 반남 박씨(潘南朴氏) 금릉위(錦陵尉) 박영효(朴泳孝)이다.
[출생과 사망]
1858년(철종 9) 영혜옹주(永惠翁主)는 철종과 범숙의의 1녀로 태어났다. 1866년(고종 3) 9살 되던 해에 어머니 궁인 범씨는 숙의로 봉해졌고, 옹주는 영숙옹주(永淑翁主)로 봉해졌다가 영혜로 바꾸어 봉작되었다.[『고종실록』 3년 2월 13일],[『고종실록』 3년 2월 13일]
그러나 영혜옹주는 결혼한 지 3개월 만에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고종실록』 9년 7월 4일] 후에 고종은 박영효에게 집 한 채를 내리고 정1품 종친의 예로 녹봉을 주었다.[『고종실록』 44년 6월 23일] 1913년(순종 6) 순종은 영혜옹주의 면례(緬禮)에 장수금(葬需金) 1,000원(圓)을 박영효에게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