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총론]
[1649년(인조 27)~1668년(현종 9) = 20세]. 조선의 제 17대 임금인 효종(孝宗)의 딸로 옹주.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어머니는 이응헌(李應憲)의 딸인 이안빈(李安嬪)이다. 부마는 반남 박씨(潘南朴氏) 금평위(錦平尉) 박필성(朴弼成)이다.
[출생과 혼인생활]
1649년(인조 27) 숙녕옹주(淑寧翁主)는 효종과 이안빈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14세가 되던 1662년(현종 3) 현종(顯宗)은 숙녕옹주의 부마를 유학(幼學) 박태장(朴泰長)의 아들 박필성(朴弼成)으로 결정하였다.[『현종실록』 3년 4월 10일] 이에 얼마 후 숙녕옹주는 박필성과 결혼을 하였고, 부마 박필성은 금평위에 봉해졌다.[『현종실록』 3년 8월 4일]
숙녕옹주는 부마 박필성과의 사이에 1녀를 두었으며, 이수철(李秀喆)의 처가 되었다. 숙녕옹주의 어머니인 이안빈은 숙녕옹주보다 더 오래 살았는데, 숙종(肅宗) 때 그 후사를 이수철의 집안으로 결정하였다. 당시 이안빈은 사위이자 숙녕옹주의 부마인 박필성의 집안에 후사를 의탁하고 싶었으나, 박필성의 집안이 대종(大宗 : 씨족 등의 시조로부터 맏아들로 이어져 내려오는 적장계(嫡長系))이라 형세가 편치 않다고 판단하여 숙녕옹주의 외손으로 후사를 결정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수철 집안의 형편이 많이 어려워지면서 제사를 폐할 지경에 이르렀으므로, >정조(正祖) 대에 이르러 매년 제수로 쓸 쌀과 돈을 지급하는 한편 집을 사서 주도록 하였다.[『정조실록』 20년 8월 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