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총론]
[1512년(중종 7)~1583년(선조16) = 72세]. 조선의 제11대 임금인 중종(中宗)의 딸로 옹주.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어머니 박경빈(朴競嬪)은 <중종반정(中宗反正)>을 주도한 정국공신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 박원종(朴元宗)의 수양딸로, 친아버지는 경상도 상주 지방의 사족 출신 박수림(朴秀林)이다. 친오라버니는 복성군(福城君)이며, 친동생은 혜정옹주(惠靜翁主)이다. 부마는 광산 김씨(光山金氏)로 광천위(光川尉) 김인경(金仁慶)이다. <작서(灼鼠)의 변>으로 서인으로 폐출되어 경상도 상주로 유배되었다가, 복작(復爵)되었다.
[출생과 혼인생활]
혜순옹주(惠順翁主)는 1512년(중종 7) 1월 25일 중종과 박경빈의 사이에서 1남 2녀 중의 장녀로 태어났다. 1521년(중종 16) 10세 되던 해에 세 살 아래인 호조 참의(參議) 김헌윤(金憲允)의 아들 김인경(金仁慶)과 혼인하였는데, 부마 김인경은 광천위에 봉해졌다.[『중종실록』 16년 12월 28일]
1527년(중종 22)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숙청당하였던 사림파(士林派)의 김안로(金安老)가 사화의 주동자 심정(沈貞)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그의 아들이자 중종의 맏사위인 김희(金禧)와 함께 작서의 변을 일으켰다. 당시 이 사건은 혜순옹주의 어머니 박경빈이 아들 복성군을 왕위에 오르기 위하여 세자(훗날의 인종(仁宗))를 저주하여 벌인 것이라는 의심을 받았고, 그러면서 혜순옹주의 계집종들까지 추국을 받았다.[『중종실록』 22년 4월 14일],[『중종실록』 22년 4월 15일] 그리고 박경빈을 처벌해야 한다는 조정의 여론에 따라 중종은 박경빈을 폐서인하였다.[『중종실록』 22년 4월 21일],[『중종실록』 22년 4월 21일] 그런데 그로부터 6년 후에 세자를 모함했다는 <가작인두의 변>이 발생하면서, 박경빈과 혜순옹주의 친오라버니 복성군에게 사약이 내려졌고, 혜순옹주 역시 폐서인이 되었다.[『중종실록』 28년 5월 23일] 부마 김인경 또한 먼 변방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으며, 얼마 후 혜순옹주는 남편을 따라 경상도 상주로 유배를 갔다.[『중종실록』 28년 5월 26일],[『중종실록』 28년 7월 20일]
그러는 가운데 1541년(중종 36) 세자가 복성군의 딸 및 이복누이인 혜순옹주와 혜정옹주를 용서해 줄 것을 상소하였다. 복성군의 딸이 민간에 버려져 서인과 다름없이 되었고, 두 옹주도 속적(屬籍)에서 제적되었는데 이들에게 무슨 죄가 있냐며 그들을 불쌍히 여겨달라고 요청한 것이었다. 결국 중종은 속적을 회복시켜 직첩을 돌려주고, 혜순옹주의 부마 김인경도 직첩을 주어 서용하게 하였다.[『중종실록』 36년 11월 9일]
부마 김인경이 세상을 떠나고 거의 반달 후인 1583년(선조 16) 12월 4일 혜순옹주 또한 72세로 세상을 떠났다. 혜순옹주와 김인경은 같은 날에 양근군(楊根郡) 북평리(北平里) 술좌(戌坐) 진향(辰向)에서 장사지냈다.
[묘소 및 후손]
혜순옹주의 묘소는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신복리 산303번지에 있다.
혜순옹주는 부마 김인경과의 사이에 자녀가 없었으므로, 시동생인 김원경(金遠慶)의 아들 김호수(金虎秀)를 계후로 삼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