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총론]
[1642년(인조 20)~1696년(숙종 22) = 55세]. 조선 제 17대 임금인 효종(孝宗)의 딸로 공주.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어머니는 장유(張維)의 딸로 효종의 정비(正妃)인 인선왕후(仁宣王后)이다. 친오라버니는 조선 제 18대 임금인 현종(顯宗)이다. 부마는 영일 정씨(迎日鄭氏) 인평위(寅平尉) 정제현(鄭齊賢)이다. 인조(仁祖)의 손녀이자, 숙종(肅宗)의 친고모이기도 하다.
[출생 및 혼인 생활]
숙휘공주(淑徽公主)는 1642년(인조 20) 효종과 인선왕후의 1남 6녀 가운데 4녀로 태어났다. 12세가 되던 1653년(효종 4) 정창징(鄭昌徵)의 아들인 정제현과 혼인하였는데, 정제현은 현종(顯宗) 때 우의정을 지낸 정유성(鄭維城)의 손자이기도 하다.[『효종실록』 4년 10월 2일],[『효종실록』 4년 12월 8일] 그러나 혼인 후 10년도 채 되지 않은 1662년(현종 3) 부마 정제현이 세상을 떠났고, 1685년(숙종 11) 아들 정태일(鄭台一)도 세상을 떠나면서 숙휘공주는 쓸쓸한 말년을 지내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