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경순공주(慶順公主)

서지사항
항목명경순공주(慶順公主)
용어구분인명사전
분야왕족
유형인물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총론]
[?~1407년(태종 7) = ?]. 조선 제 1대 임금인 태조(太祖)의 딸로 공주.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어머니는 신덕왕후(神德王后)이다. 부마는 성주 이씨(星州李氏) 흥안군(興安君)이제(李濟)이다. 친동생은 무안대군(撫安大君) 이방번(李芳蕃)과 의안대군(宜安大君) 이방석(李芳碩)이다. <제 1차 왕자의 난> 때 두 동생과 남편을 잃은 후 여승이 되었다.

[출생 및 혼인 생활]
태조와 신덕왕후의 2남 1녀 가운데 장녀로 태어났다. 부마 이제(李濟)는 고려 말 권신이었던 이인임(李仁任)의 동생 이인립(李仁立)의 아들로 조선 개국 후 그 공을 인정받아 개국 공신에 봉해졌다.[『태조실록』 1년 8월 20일] 그리고 태조는 세자로 막내아들인 신덕왕후 소생인 의안대군 이방석을 세웠는데, 조선 개국에 공이 있던 신의왕후(神懿王后) 소생의 배다른 형들은 이에 대하여 불만을 품었다.[『태조실록』 1년 8월 20일] 그리하여 1398년(태조 7) 이방원(李芳遠)을 중심으로 한 신의왕후 소생 왕자들이 제 1차 왕자의 난을 일으키면서 신덕왕후의 소생 왕자들이 모두 숙청당하였다. 이때 경순공주는 부마 이제에게 함께 이방원의 집에 간다면 살 수 있다며 간청하였으나, 이제는 이를 거절하였다. 그리고 그날 저녁 집으로 들이 닥친 군사들이 부마 이제를 살해하였다.[『태조실록』 7년 8월 26일]

이에 경순공주의 삶을 걱정한 태조는 1399년(정종 1) 경순공주를 출가시켜 여승이 되게 하였다.[『정종실록』 1년 9월 10일] 그리고 그로부터 10년도 채 되지 않은 1407년(태종 7) 경순공주는 세상을 떠났고, 이에 정종과 태종은 한동안 소선(素膳)을 하였다.[『태종실록』 7년 8월 7일],[『태종실록』 7년 8월 16일]

한편 부마 이제는 1421년(세종 3) 태상왕이던 태종의 뜻에 따라 신원되어 태조의 묘정에 배향되었다.[『세종실록』 3년 11월 9일]

[후손]
경순공주와 부마 이제 사이에는 자손이 없었는데, 1438년(세종 20) 세종이 부마 이제의 동생 이발(李潑)의 아들 이윤(李潤)을 그 후사로 삼고 제사를 받들게 하였다. 그리고 이제에게 하사하였다가 회수한 공신전과 노비만큼 새로운 공신전과 노비를 하사하였다.[『세종실록』 20년 3월 15일]

[참고문헌]
■ 『태조실록(太祖實錄)』
■ 『정종실록(定宗實錄)』
■ 『태종실록(太宗實錄)』
■ 『세종실록(世宗實錄)』
■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記略)』
■ 『국조보감(國朝寶鑑)』
■ 『동문선(東文選)』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양촌집(陽村集)』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해동악부(海東樂府)』
■ 지두환, 『태조대왕과 친인척』, 역사문화, 1999.

■ [집필자] 정주영, 김가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