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경신공주(慶愼公主)

서지사항
항목명경신공주(慶愼公主)
용어구분인명사전
분야왕족
유형인물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총론]
[?~1426(세종 8) = ?]. 조선 제 1대 임금인 태조(太祖)의 딸로 공주.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어머니는 신의왕후(神懿王后)이다. 부마는 청주 이씨(淸州李氏)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이애(李薆)이다. 정종(定宗)과 태종(太宗)의 친동생이자, 세종(世宗)의 친고모이기도 하다.

[출생 및 혼인 생활]
태조와 신의왕후의 6남 2녀 가운데 장녀로 태어났다. 조선이 개국하기 전에 태어났으며, 요동 공격에 나선 장수들의 가족을 볼모로 잡을 때 태조가 직접 경선공주(慶善公主)와 무안군(撫安君), 소도군(昭悼君)과 함께 어린 나이의 경신공주를 피신시켰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태조실록』 총서 89번째기사] 부마는 이거이(李居易)의 아들인 이애인데, <제 1차 왕자의 난>과 <제 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이방원이 왕위에 오르는데 큰 공을 세웠다. 이후 이를 인정받아 경신공주의 부마 이애는 정사좌명공신(定社佐命功臣)이 되었으나, 1404년(태종 4) 과거에 이거이가 반역을 계획하였다며 탄핵되면서 아들인 부마 이애도 이에 연좌되어 서인(庶人)으로 폐한 후 함주(咸州)으로 유배를 갔다.[『태종실록』 4년 10월 18일],[『태종실록』 4년 10월 24일],[『태종실록』 4년 11월 1일],[『태종실록』 14년 10월 6일] 그리고 이듬해인 1406년(태종 6) 태종은 대간의 반대를 무릅쓰고 이애에게 고신을 돌려주었다.[『태종실록』 6년 윤7월 12일]

이후 경신공주는 큰 어려움 없이 살다 1426년(세종 8)에 세상을 떠났고, 그 다음 날 세종은 신하들을 거느리고 직접 거애(擧哀)하였다.[『세종실록』 8년 3월 22일],[『세종실록』 8년 3월 23일]

한편 경신공주의 부마 이애의 동생 이백강(李伯剛)은 태종의 장녀이자 경신공주의 조카인 정순공주(貞順公主)의 부마가 되었다.

[성품]
경신공주의 성품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타고난 성격이 유순하고 아름다우며, 마음가짐이 엄격하며 조심스러워서, 부호로 살면서도 검소하게 지냈고, 귀하게 되었으나 더욱 겸손하였다. 집안에 모범이 되어 일찍부터 집을 잘 다스리는 덕이 나타났으며, 남편을 협조하여 능히 국가를 창건한 공을 이루었도다.[『세종실록』 8년 3월 27일]

[묘소와 후손]
묘소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고읍 신원리에 위치한다.

경신공주는 부마 이애와의 사이에서 1남 이후(李厚)를 두었다.

[참고문헌]
■ 『태조실록(太祖實錄)』
■ 『태종실록(太宗實錄)』
■ 『세종실록(世宗實錄)』
■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記略)』
■ 『동문선(東文選)』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인재집(寅齋集)』
■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 지두환, 『태조대왕과 친인척』, 역사문화, 1999.

■ [집필자] 정주영, 김가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