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총론]
[1377년(고려 우왕 3)~1464년(세조 10) = 88세]. 조선 초기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집현전(集賢殿)부제학(副提學)과 중추부(中樞府) 영사(領事) 등을 지냈다. 자는 자행(子行)이고, 호는 고은(皐隱)이며,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본관은 탐진(耽津)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아버지는 종사랑(從仕郞)안사종(安士宗)이며, 할아버지는 안윤기(安允基)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안현(安顯)이다. 오랫동안 집현전에서 근무하며, 다양한 서적을 편찬하였다.
1420년(세종 2) 세종(世宗)은 인재 양성과 학문의 진흥을 목적으로 학문 연구 중심기관인 집현전(集賢殿)을 설치하고, 유망한 젊은 문학(文學)의 선비를 뽑아 집현전의 관리로 임명하였다. 이때 안지(安止)도 집현전 수찬(修撰)으로 선발되었다.[『세종실록(世宗實錄)』 2년 3월 16일] 이후 집현전 부교리(副校理)가 되었으며, 1424년(세종 6) 유계문(柳季聞)·최흥효(崔興孝) 등과 함께 세종의 명을 받아 『금자법화경(金字法華經)』을 써서 완성하였다.[『세종실록』 5년 9월 21일],[『세종실록』 6년 4월 20일] 그는 집현접 응교(應敎)와 집현전 직전(直殿) 등을 거쳐, 1434년(세종 16) 집현전 부제학(副提學)에 임명되었다.[『세종실록』 9년 10월 8일],[『세종실록』 12년 8월 10일],[『세종실록』 16년 8월 17일] 그리고 집현전 부제학으로서 『자치통감훈의(自治通鑑訓義)』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1436년(세종 18)에는 신덕왕후(神德王后)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은 흥천사(興天寺)를 철거 후 새로 짓겠다는 세종의 의견에 집현전을 대표하여 적극 반대하였다.[『세종실록』 17년 6월 8일],[『세종실록』 18년 6월 10일] 그러나 세종은 흥천사의 사리각(舍利閣)이 낡아서 위험하기 때문에 철거하고 새로 지으려는 것이지 흥천사 중수가 아니라며 반박하였다. 이후에도 안지는 계속하여 집현전 부제학을 역임하였으며, 1438년(세종 20)에는 정인지(鄭麟趾) 및 권제(權踶) 등과 함께 외교 문서인 사대문서(事大文書)를 담당하기도 하였다.
[성품과 일화]
안지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안지는 충후(忠厚)하고, 문장을 읽어서 잘 지었으며, 해서(楷書)에 능하였다. 마음가짐이 유연하여 세정(世情)에 얽매이지 않았고, 집이 매우 가난하고 쓸쓸하여 비바람을 가리지 못할 형편이었는데, 스스로 ‘고은’이라 불렀다. 시를 잘 지었으며, 간고(艱苦)한 일을 각박하게 처리하지 않고 여유 있는 태도를 취하였다.[『세조실록』 10년 8월 4일]
또 안지의 집이 본래 빈한(貧寒)하여 그가 고향에 돌아갈 적에 행장(行裝)이 몇 바리의 짐에 차지도 않았고, 풍모가 중인(中人)에 지나지 않았는데, 눈썹이 기다랗고 머리가 하얗게 희었다. 광화문(光化門)을 지날 때 들것에서 내려 궁궐을 향하여 배사(拜謝)하고 통곡하다가 가니, 사람들이 모두 불쌍히 여겨 눈물을 흘리지 않는 자가 없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세조실록』 10년 4월 12일]
[묘소와 후손]
시호는 문정이다. 묘소는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예촌리에 있다. 경산의 조곡서원(早谷書院)에 제향되었다.
부인 여산 송씨(礪山宋氏)는 감무(監務) 송충손(宋忠孫)의 딸로 1남 3녀를 두었는데, 1남 안건(安健)은 의금부(義禁府)도사(都事)를 지냈다. 1녀는 운봉현감(雲峰縣監)을 지낸 황맹수의 처이고, 2녀는 중추원 첨지사 조득인(趙得仁)의 처이며, 3녀는 참의(參議) 임호(任灝)의 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