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총론]
[1759년(영조 35) ~ 1801년(순조 1) = 43세]. 조선 후기 천주교도로, <신유박해(辛酉迫害)> 때의 사망자. 세례명은 루도비코 곤자가이고, 거주지는 충청남도 예산과 전라도 고산이다. 충청도 내포 지역 천주교 전파의 사도로 불린다.
[정조~순조 시대 활동]
충남 예산(혹은 천안) 여사울에서 태어난 이존창은 권일신(權日身)으로부터 천주교 교리를 배워 입교했다는 설과 홍낙민(洪樂敏)·홍낙교(洪樂敎) 형제로부터 배웠다는 설이 있다.[샤를르 달레, 『한국천주교회사』상],[『수기(隨記)』]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인 그는 1786년(정조 10) 가성직자단에 임명되어 적극적인 전교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는 짧은 기간 동안 자신의 친인척과 친구, 그의 지식과 덕행의 평판을 듣고 찾아오는 사람들을 천주교로 인도하였다.[샤를르 달레, 『한국천주교회사』상] 그 결과 그는 내포지역 천주교 전파의 밑거름이 되었다.
1791년(정조 15) <신해박해(辛亥迫害)>의 발발로 공주감영에 체포된 그는 처음에는 자신의 신앙을 부정하지 않았으나,[『정조실록』 15년 11월 3일] 결국에는 배교를 하고 석방되었다.[『정조실록』 15년 12월 2일],[『정조실록』 15년 12월 11일] 그러나 그는 집으로 돌아와 다시 전교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자신의 신앙을 저지하는 형을 피해 좀 더 안전하게 활동을 펼치고자 그해 12월 30일 집을 떠나 홍산(鴻山)으로 이주하였고, 얼마 후 다시 금산(錦山)을 거쳐 고산(高山)에 정착하였다.[샤를르 달레, 『한국천주교회사』상],[『추안급국안』]
그는 1795년(정조 19) 주문모(周文謨) 신부가 입국하자 전라도로 모셔와 성사를 받았다. 그러나 그해 말 <을묘박해(乙卯迫害)>의 여파로 또다시 체포되었다가 풀려났고[샤를르 달레, 『한국천주교회사』상], 다시 2년 후인 1797년(정조 21) <정사박해(丁巳迫害)>로 재차 체포되어 심문을 받았다.[『정조실록』 21년 2월 23일] 당시 정조는 이존창이 개과천선을 한다면 방면할 것을 명하였으나,[『정조실록』 21년 2월 23일] 그는 쉽사리 신앙을 버리지 않았고 이에 대해 조정 대신들은 그에 대한 사형을 청하기도 하였다.[『정조실록』 22년 5월 22일],[『정조실록』 22년 8월 8일] 그후 그는 2년이 넘는 옥살이 끝에 결국 배교를 하고 석방이 되었다.[『정조실록』 23년 6월 4일],[『정조실록』 23년 8월 3일],[『추안급국안』]
그러다가 1801년(순조 1) 1월 신유박해가 시작되며 천주교 신자들에 대한 체포령이 내려진 가운데 이존창은 다시 체포자 명단에 이름이 올랐고,[『순조실록』 1년 2월 5일] 그해 2월 9일 공주(公州)에서 체포되어 심문을 받은 후 의금부로 이송되어 추국을 받았다.[『추안급국안』] 그는 심문 과정에서 잠시 배교를 하였으나, 다시 마음을 바꾸어 천주교 신앙을 주장하였고 결국 2월 25일 사형선고가 내려졌다.[『정조실록』 1년 2월 25일] 공주로 이송된 이존창은 2월 27일 참수형을 받아 사망하였다.[『정조실록』 1년 2월 26일],[『승정원일기』 정조 1년 2월 6일] 당시 그의 나이 43세였다.
한편 그의 신분에 대해서는 그동안 중인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충청도관찰사(忠淸道觀察使)로서 1791년(정조 15) 이존창의 공조를 담당한 박종악(朴宗岳)이 정조에게 보낸 서찰 가운데 ‘사노비’로 표현한 부분이 있어 연구가 진행 중이다.